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예방 주사를 맞게 되면 그 병에 왜 잘 걸리지 않는 것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3

해마다 겨울이 오기 전에 독감 예방 주사를 맞잖아요 그렇게 되면 독감이 잘 안 걸리거나 약하게 걸린다고 하던데 예방 주사를 맞으면 병이 잘 안 걸리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성현 내과 전문의
      신성현 내과 전문의
      서울에이스내과의원 (개원예정)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독감 예방 주사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주사는 독감 바이러스의 일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사를 맞으면 몸이 이 단백질을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반응으로 항체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항체는 바이러스가 몸에 침입하려고 할 때 이를 공격하고 제거하여 독감에 걸리지 않게 합니다.

      또한, 독감 예방 주사는 몸의 면역 시스템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실제로 독감에 걸리더라도 증상이 덜하거나 경과가 빠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감 예방 주사를 맞았다고 해서 100% 독감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가 생기기 때문에 예방 주사는 매년 새로운 변이에 대응하여 개발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예방접종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인데, 우리 몸에 바이러스나 균이 침투하게 되면 면역체계는 이를 적(항원)으로 인식해 무기(항체)를 만듭니다. 이러한 원리는 인위적으로 약독화된 균의 항원을 접종했을 때에도 동일하게 작용해서 접종후 항체를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제로 해당 균에 대한 감염증이 발생하더라도 몸에는 이미 항체가 있으니 증상을 덜 겪거나 겪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예방 접종은 미리 바이러스를 면역력이 생길 수 있을 정도에서 최대한 약화 시키거나 죽인 뒤 체내에 주입을 해주는 주사입니다. 그로 인해서 몸에 침투한 항원에 대해서 몸은 미리 항체를 만들어둘 수 있게 되며, 실제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였을 때 빠르게 반응하고 면역력을 발휘하여서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예방 접종 이후 항원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면서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항체 효과가 감소하면 예방 접종 이후에도 감염이 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