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09.18

상어는 어떻게 치아가 계속 나는건가요?

상어는 치아가 빠져도 새로운 치아가 다시 생성이 되는데 포유류와 달리 어떤 이유로 상어는 성체가 되어서도 치아가 계속해서 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과 상어 모두 포유류 이나 상어는 평생 이빨을 계속 만들어내는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존의 목적과 환경이 그렇게 만들었을 걸로 추측하고 있는데 상어의 유전자에서 이빨재생에 관한 염기서열을 파악하였다고 합니다. 시원한 답변을 해드리지 못한것 같아서 죄송합니다. 좀 더 자료를 찾아보고 덧붙일 내용이 있으면 추가 작성토록 하겠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하나의 치아가 손상되거나 분실되어도, 뒤이어 있는 여러 개의 치아가 바로 자리를 대체합니다. 이 과정을 다중 치아 행이라고 합니다. 이는 상어의 치아가 연속적으로 자라는 치아의 출현 지역인 치아 벨트에 기인합니다 상어의 치아는 지속적으로 자라기 때문에, 손상된 치아는 빠르게 대체됩니다. 새로운 치아는 이전에 손상된 치아의 자리를 차지하며, 이 과정은 상어의 생물학적인 특성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성체가 되어서도 치아가 계속해서 나는 이유는 상어의 치아는 뼈가 아닌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케라틴은 손톱이나 털을 만드는 단백질로, 치아와 같이 지속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부위에 많이 사용됩니다. 상어의 치아는 잇몸 안쪽에 있는 잇몸 주머니에서 만들어집니다. 잇몸 주머니에는 수많은 치아가 줄을 지어 있으며, 앞쪽의 치아가 빠지면 뒤쪽의 치아가 앞으로 이동하여 자리를 차지합니다. 이 과정은 매년 수십 개의 치아가 교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