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유럽에서는 사랑니를 지혜의 이 로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사랑니 라는 단어는 우리나라 말이고, 유럽은 사랑니를 지혜의 이로 부른다는데요

지혜의 이 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것인지, 그 유래도 함께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랑니는 일반적으로 18세 이후에 발생하며, 이 시기에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과 선택을 많이 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랑니를 '지혜의 이'로 부르는 것은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랑니를 지혜의 이라고 하는 이유가 궁금하군요.

    보편적으로 17세에서 20대 초반, 즉 사랑을 깨닫는 늦은 나이에 나는 이라서 '사랑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영어로 사랑니가 '지혜의 이(wisdom tooth)'인 이유와 흡사합니다. 사람이 성장하고 어느 정도 철이 들었을 때 마지막으로 자라나는 치아이기 때문입니다. 살 속에 파묻혀 있다 해서 살 안에 있는 이, 즉 '살안니'라고 하다가 이것이 변해 '사랑니'가 된 것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일단 국립국어원에서는 "확실한 어원을 알기 힘들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몇몇 어르신들은 마지막에 나온다 해서 "막니"라 부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랑니를 영어로 ‘Wisdom tooth’라고 지혜의 치아 라고 하느데 영미권에서 사랑니를 부르는 호칭을 변환한 것으로 지혜의 치아라는 의미를 갖는 이유는 사랑니가 나오는 나이에 철이 들고 지혜로워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해서 이름이 그렇게 붙여 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