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구실손인데 착한실손으로 전환해야 하나요?
2008년도에 가입했던 100% 구실손인데 착한실손으로 전환해야 하나요? 어떤게 맞는건지 궁금하고 왜 전환을 해야하는지 아니면 안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확실한 정답을 알고싶네요 알려두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성준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질문자님께서도 잘 아시겠지만 현재 모든 의료실손보험(실비)은 80~90% 보장되는 상품만 있습니다.
실비보험의 최대 보장 금액, 본인부담금 비율 등 보장 내용이 계속 해서 개정되는 주된 이유는 보험사의 손해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비보험의 경우 대한민국 국민 중 과반수가 가입한 보험으로 워낙 보장 범위가 넓다보니 청구하는 비율도 가장 높은 보험입니다.
현재 새로 개정된 실비가 납입보험료 등 몇 가지 더 좋은 점이 있다고 홍보를 하고 있으나 100%실비에 견줄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존 의료 실비의 경우 지급 금액도 많고 교통사고나 산재 사고시 보험회사나 공단에서 처리된 의료비에 대해서도 중복 보상이 되는 상품입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의료 실비보다 보장범위가 넓기 때문에 보험료 부담이 없다면 유지하시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성국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착한 실손으로 전환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보험료입니다. 2008년에 가입한 실손이라면 100%보장에 3년 또는 5년 갱신일 것입니다. 그래서 갱신시 보험료가 많이 오릅니다. 그러나 착한 실손은 90% 또는 80%보장에 자기부담금이 더 크고 1년갱신이라 상대적으로 갱신폭이 작습니다. 보장의 폭은 2008년 것이 낫습니다. 보험료가 부담이 안되신다면 그냥 가져가시고 부담이 많이 되신다면 전환을 고려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도현민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실손이 금액적으로 부담이 없으시다면 100프로 실비라면 무조건 가져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요즘 100프로실비 없습니다
허나 보험료가 부담되신다면 전환도 생각해보세요ㅎ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병기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착한실손... 보장은 착하지 않습니다. 착한 실손은 보험료가 좀 착합니다.
그만큼 보장의 범위가 축소가 되었을 뿐입니다.
100%형의 실손은 좋은 보험입니다. 다만 보험료가 높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장의 범위가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로 백내장 수술의 경우 기본수술은 병원마다 틀리지만 대략 30만원이라고 추정한다고 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기본 수술은 30만원이지만 좋은 렌지를 삽입하고 치료 하였을 시에는 합이 1천만원까지도 나온다고 합니다.
지금의 실손의료비는 보장을 하지 않지만 질문자님이 가입하신 보험은 실손의료비에서 보장이 됩니다.
보장의 차이가 좀 많이 납니다.
착한실손?? 이 좋은 점은 ... 보험료와 MRI 보장이 정도가 좋네요.
MRI가 60만원이면 예전 보험은 통원 25만원이 다지만 지금은 60만원에서 30% 제외하고 보장을 하니 42만원 환급할 수 있다는 것이 좋네요. ;;
보험계약자의 선택입니다. 다만 설계사는 사실을 그대로 말씀드리는 의무가 있으니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동해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실한 정답은 없습니다...
우선 08년 구실손은 100%보장이 되는 대신에 저 당시에는 보장성보험료와 함께 적립보험료를 필수로 부가하여야 했습니다.
보장성 보험료 외에 불필요한 적립보험료 라는것을 매월 납부해야 하죠. 그렇기에 비싸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처럼 실손만 단독으로 빠져있는 것이 아닌 종합보험에 함께 묶여 있기 때문에 종합보험의 담보들이 갱신형이라면 실손보험 이외의 갱신이 또 이루어 지면서 비싸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한, 구실손은 금융감독원의 제재를 받지 않은 초창기의 실손으로 갱신폭에 제한이 없습니다.
현실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갱신폭이 크기에 비싸게 느껴지는 것이죠.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정답은 없습니다.
현재 나이가 어떻게 되시는지, 현재 보험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실손이 현재 얼마인지 잘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견해로는
실손은 가장 중요한 보험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6-70세 이후로 구실손을 유지 할 경제력이 되실지가 의문입니다.
월 납입 20만, 30만, 40만, 50만...얼마가 되던 상관 없으시다면 교체하실 필요가 없겠습니다.
하지만 실손보험만 10만-20만 넘어가면 즉시 큰 부담이 될 것이다. 라고 하면 교체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