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노드 라이트노드 마이너노드 마스터노드는 어떤 차이인가요
노드에는 풀노드 라이트노드 마스터노드 마이너노드 등이 있는데 이러한 노드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노드의 특성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풀노드(Full Node)
기존 블록을 생산하는 역할을 포함하여 블록체인의 첫번째 블록부터 현재까지 생성된 블록 정보를 모두 보유한(저장) 노드입니다.
즉 풀노드는 해당 블록체인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풀노드의 역할
거래자들간의 정보를 분석하여 유효한 거래인지 확인합니다.
새로운 블록이 추가될 경우 이전거래 내역이 일치하는지 검증합니다.
블록생성시 이중지불이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새로운 불록이 생성시 올바른 보상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풀노드에 가지고 있는 정보를 주변 노드에 전파하여 공유합니다.
슈퍼노드(Super Node)
위임지분증명(DPoS)의 기반으로 소수의 노드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는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대표되는 슈퍼노드 운영은 트론(27BP)이 있습니다.
이오스의 BP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블록 생성자들을 슈퍼 대표자(Super Representative)라고 부릅니다.
슈퍼 대표자 후보자는 트론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선출된 100명 중에서 선택되고 선거는 24시간마다 개최되는데 모든 트론 소유자가 24시간마다 투표로 선출한 27명이 슈퍼 대표자가 되고,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으로 블록 당 32TRX를 지급받게 됩니다.
라이트노드(Light Node)
풀노드(full node)는 해당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 거래정보를 보유한 노드로 거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 운영이 가능한데 반해 라이트노드(Light Node)는 시드(Seed)형태의 정보인 블록헤더의 데이터만 보유한 노드를 말합니다
이런 라이트노드는 거래 검증시 풀노드의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풀노드의 의존도가 필수적이지만 운영상 비용이 적게 들고 사용이 쉬우며, 문제 발생시 복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PV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립니다.
마이너노드(Miner Nodes)
마이너노드는 채굴을 위한 노드로 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는 노드로 단독으로 운영되는 솔로 마이너(Solo Miner)와 병렬로 구성된 풀 마이너(Pool Miner)가 있습니다.
이렇게 병렬로 구성되어 채굴을 하는 규모적인 마이너 노드를 마이닝 풀(Mining Pool)이라고 불립니다.
라이트노드(Light Node)
풀노드(full node)는 해당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는 노드를 말합니다. 즉, 모든 거래정보를 보유한 노드로 거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 운영이 가능한데 반해 라이트노드(light node)는 시드(Seed)형태의 정보인 블록헤더의 데이터만 보유한 노드를 말합니다.
이런 라이트노드는 거래 검증시 풀노드의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풀노드의 의존도가 필수적이지만 운영상 비용이 적게 들고 사용이 쉬우며, 문제 발생시 복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노드란, 쉽게 말하자면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사람(혹은 기기, 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블록체인에 적용하여 생각한다면,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참여자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노드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중요한 몇 가지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풀노드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는 블록의 거래 내역 전체(블록체인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검증하며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가장 큰 이바지를 하는 노드입니다. 하지만 풀 노드를 운영한다고 해서 받는 보상은 없습니다.
다음으로 마스터 노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풀 노드를 운영하게 되면 블록의 거래 내역 전체를 저장하고 검증하며 네트워크를 유지함에도 마이닝 노드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합니다. 네트워크 유지에 가장 큰 기여를 함에도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풀 노드들 중에서 일정 수량 이샹의 코인을 보유하고 그것을 스테이킹할 경우에 채굴되는 코인 중 일부를 네트워크 유지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주게 됩니다.
계속해서 마이닝 노드가 있습니다. 이 마이닝 노드는 블록의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즉,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 베이스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거래를 검증하고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거래를 기록하게 되고 그 직접적인 채굴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는 노드입니다.
끝으로 지갑 노드입니다. 이것은 라이트웨이트 노드라고도 불리는데요, 바로 우리가 가장 흔히 많이 사용하는 지갑이라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노드는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며 유저가 트랜젝션을 발생시키면 그것을 다른 풀노드에게 전송한 후 검증 받아 거래를 처리하게 되므로 가벼운 노드라고 불리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