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색깔은 결국 반사되는 색깔이 눈에 보이는거라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하늘은 도대체 무엇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파란색으로 보이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빛은 여러색깔의 빛들이 다 합쳐져있는 상태입니다. 태양빛이 지구 대기와 만나면서 대기중의 작은 물방울이나, 먼지등에 의해 산란되는 과정에서 파란색이 가장 잘 산란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레일리 산란때문입니다. 태양빛 자체는 여러파장의 빛으로 구성되어이는 백생광인데요 (빨간색~보라색까지 다양한파장을 포함) 대기중으로 들어오게 되면 대기의 공기 분자와 미세 입자들이 빛을 산란시키게 되고, 빛의 파장에 따라 산란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것입니다. 짧은파장의 빛이 긴파장의 빛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산란되게 되고 (산란의 정도가 빛의 파장에 반비례하기에) 파란색 빛이 다른 색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산란되는것입니다. 보라색 빛도 파란색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기에 보라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야 하지만 우리의 눈은 파란색에 더 민감하게 작용하게 되고 태양빛에 보라색보다 파란색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끼 때문이기ㅗㄷ 합니다. 해가 낮게 있을때는 태양빛이 대기를 더 많이 통과하게 되면서 짧은 파장의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고 그 결과 긴 파장의 붉은색 빛이 남게되어 해질무렵이나 해 뜰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