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남극 빙하가 녹는 이유가 극소용돌이와 연관이 있나요?

과학관련 기사를 보다가 갈수록 남극빙하가 점점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한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대기층의 극소용돌이의 영향?으로도 녹을수 있다는거 같은데요. 이에대한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층의 극소용돌이는 남극 빙하의 녹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극지방의 대기층에서 발생하는 극소용돌이는 빙하 주변의 공기를 빠르게 회전시켜서 빙하의 녹는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빙하 주변의 따뜻한 공기를 빙하로 이동시켜 녹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 빙하가 녹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대기층의 극소용돌이입니다. 극소용돌이는 대기층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일종으로 남극 지역에서 매우 강한 바람이 불면서 빙하를 녹이는 역할을 합니다.

    극소용돌이는 바람이 빙하를 녹이는 것 외에도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극소용돌이가 빙하를 녹이면서 빙하의 무게를 줄여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도 그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극소용돌이가 빙하를 녹이면서 빙하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빙하가 더 빨리 녹는 것도 그 영향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극소용돌이가 남극 빙하의 녹는 속도에 대한 주요한 요인은 아닙니다. 남극 빙하의 녹는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해수면 온도 상승 바람의 방향과 세기 등이 모두 남극 빙하의 녹는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과학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남극 빙하의 녹는 속도를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극 소용돌이는 극지방 대기에서 만들어지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대기의 흐름을 말합니다.

    이러한 극 소용돌이는 매년 주기에맞춰 세지고 약해지고를반복합니다.

    그런데 약해지다가 소멸하는시기는 12월에서 1월정도인데, 예년보다 더 빠른시기인 10월이나 11월부터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남극의 기온이 더 빠르고 높게 상승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 빙하


    녹는 속도가


    빨라지는 데


    극소용돌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남극 주변의 강한 서풍은 남극 대륙을 둘러싸고 있는 극소용돌이를 형성합니다.


    극소용돌이는 남극 대륙에서 흘러나오는


    차가운 공기를 가두고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남극을 차갑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극소용돌이가 약해지고 있습니다.


    극소용돌이가 약해지면 남극 대륙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어 빙하 녹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 주변의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은 극소용돌이를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오존층 파괴로 인해 남극 상공의 성층권 온도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성층권 온도 감소는


    극소용돌이를 약화시키는 또 다른 원인입니다.



    극소용돌이 약화는 남극 빙하 녹는 속도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남극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여 해안 침수, 홍수 등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극소용돌이 약화는 폭염, 폭설, 가뭄 등 극한 기상 현상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극소용돌이 약화는 남극 빙하 녹는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여 해수면 상승


    극한 기상 현상 증가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 극소용돌이의 이른 붕괴가 여름철 온난화 발생을 부추긴다고 이야기 했는데요 연구팀에 따르면 극소용돌이가 평년보다 빠르게 무너지면서 중위도의 따뜻한 공기가 서남극 로스해와 아문센해로 더 많이 유입되는데, 그 영향으로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해빙이 줄어든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 빙하 녹는 데 대기층 극소용돌이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극소용돌이는 대기 중의 압력 변화로 형성되는 소용돌이로, 지표면에 강한 바람과 저온을 가져옵니다. 이 저온은 빙하 표면을 냉각시키고, 빙하 녹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극소용돌이가 지속되면 빙하 표면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해하고, 빙하 표면의 얼음을 직접 증발시키는 승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빙하 녹는 속도를 더욱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극소용돌이는 빙하 녹는 속도를 늦추는 역할과 빠르게 만드는 역할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극소용돌이의 강도, 지속 시간, 발생 위치 등에 따라 빙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