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09.01

조선의 효종은 왜 북벌정책을 한 것인가요?

조선의 효종의 경우 딱히 업적이라기보단

북벌론을 강하게 주장했다고 알고 있는데

당시 북쪽으로는 청나라가 흥하고 명나라는 쇠퇴기였다 알고 있습니다

효종의 경우는 명나라에 대한 의리와 오랑캐라 여기던 청나라에 대한 반감 때문에 북벌론을 주장한 것인가요?

모든 것에는 명분이 있기마련아데

어떤 이유로 북벌론을 주장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란의 원수를 갚고자 청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세웠던 정책으로

    청나라에 당한 치욕을 씻고자 북벌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효종은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김자점 등 친청파를 조정에서 몰아내고 김상업, 김집, 송시열, 송준길 등 서인계 대청 강경파를 중용해 북벌계획을 추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때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던 봉림대군(효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청나라에게 당한 병자호란,삼전도의 굴욕 등을 씻고 임진왜란때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후금이 조선에게 신하의 예를 갖추라하여 오랑캐라고 생각하는 조선은 거절하여

    후금이 쳐들어와 조선은 무릎을 꿇는 굴욕을 당했습니다

    그래서 효종은 북벌정책으로 후금을 공격할려고 비밀리에 추진하여 군사를 키웠습니다

    두 번의 나선 정벌은 조선군의 사기를 한껏 높여 이 후에도 나선 정벌을 핑계로 조선은 산성을 정비하고 군비를 확충하여 북벌 작업에 박차를 가했지만 전쟁 피로누적과 재정적 문제로 중단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자호란이 치욕적인 성 아레의 맹세로 끝나고,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갔던 효종이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이러한 민족적 굴욕을 씻기 위해 북벌을 계획하게 되었다.

    효종은 이완(李浣)을 훈련대장에 임명하여 비밀리에 군대를 훈련시키고 성지(城池)를 개수했다. 또한 제주도에 표착한 하멜 등에게 신무기를 만들게 하고, 송시열·송준길(宋浚吉) 등을 등용하여 군비를 확충하였다. 북벌의 첫 시험장은 나선(러시아)정벌이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청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효종이 재위 10년 만에 승하함으로써 수포로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