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핵융합 발전은 어느 정도의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나요?

최근 핵융합 발전 연구에서 얻은 주요 성과는 실제 상용화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을까요? 핵융합 발전의 에너지 효율성과 안전성이 기존 원자력 발전과 비교해 어떤 장점을 가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핵융합 발전은 현재 실험 단계에서 중요한 연구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수십 초간 고출력 플라즈마 유지에 성공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과 미국, 유럽 등에서 플라즈마 안정성 및 에너지

    이득률 향상에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상업적 발전소 건설까지는 수십 년의 추가 연구와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핵융합은 미래 청정 에너지의 유망한 후보로 인정받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핵융합 발전과 원자력은 비슷한듯 보여도 다릅니다.

    둘다 원자핵의 에너지를 사용하지만 원자력 발전은 무거운 원자핵을 사용하고 핵융합발전은 가벼운 원자핵을 사용합니다. 그렇다보니 핵융합 발전은 더 안전하고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이 적습니다.

    현재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지속적으로 연구중인데 아직 상용화 하기에는 10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에너지는 아무래도 유해물질이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보니 연구는 활발히 하고 있으나 상용화할 단계는 아닙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핵융합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아직 많은 기술적 문제를 가지고 있어 2030년 중반에 실험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2050년대 이후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원자력과 비교한다면 에너지 효율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바닷물을 통해 공급이 가능해서 연료 수급이 원활하고 연료 공급이 중단되면 즉시 정지되어 사고 위험이 낮습니다.

    폐기물 또한 중저준위 폐기물만 발생시키고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점이 장점으로 비교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땅 위의 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 에너지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현재 핵융합 연구는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초고온 플라즈마를 가두는 토카막 기술이 발전했고, 실험실 수준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성공하는 등 핵심 기술 개발에서 성과가 있습니다. 핵융합로에 필요한 새로운 재료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고요. 하지만 실제 상용 발전소 가동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핵융합 반응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기로 바꾸며, 경제성을 확보하는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경제적 과제들이 남아있습니다. 지금은 실증로 건설 단계이며, 상용화까지는 수십 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민간 기업들도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은 기존 핵분열 발전보다 안전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반응 제어가 불안정해지면 자동으로 멈추고, 방사능 노출 위험이나 폐기물 발생량도 훨씬 적습니다. 연료인 중수소는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어 자원 걱정도 없고요. 이러한 잠재력 때문에 미래 에너지원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