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튼실한두꺼비276
튼실한두꺼비276

피부과 약으로 인해서 딸국질이 계속 나와요

피부과 가서 여드름 약 처방받은 이후로 딸국질이 계속나와요 평소에는 물을 많이 마시면 딸국질이 멈추었는데 물을 많이 마셔도 멈추지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딸국질이 멈출까요?? 약을 복용하지 않는 방법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불수의적인 횡경막 수축에 의하여 숨을 쉬고자 하나 갑자기 성문이 닫혀 특징적인 소리는 내는 것을 딸꾹질이라 한다. 보통은 경과가 양호하며 저절로 호전되는 성가심 정도에 불과하지만, 오랫동안 지속될 수 경우에는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 있다. 인공호흡기로 치료 중인 환자에서 딸꾹질은 전체적인 호흡 순환의 이상을 초래하여 호흡성 알칼리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딸국질의 유병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딸국질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류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간의 경우 심지어 태어나기 전에 자궁 안에서도 발생한다. 딸국질은 미숙아나 신생아가 유아, 소아, 성인에 비해 더 흔하다. 유아와 소아의 딸꾹질인 경우에는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며, 특발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아가 성숙하면서 딸국질의 빈도는 점차 감소한다. 그러나 이유는 알려져있지 않지만 지속적이며 재발하는 딸국질은 성인에서 더 흔하다. 일시적인 딸국질의 남녀 차이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으나, 지속적이며 재발하는 딸국질은 남성에서 더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딸국질의 인종적, 지역적, 사회경제학적 차이에 대해서는 문헌에 고찰된 바가 없다.

      경과가 양호하여 저절로 호전되는 딸꾹질은 위의 팽창(탄산음료, 공기 삼킴, 과식)과 급격한 기온 변화(더운 환경에서 찬 음료, 더운 환경에서 찬 샤워), 음주, 고양된 감정 상태(흥분, 스트레스, 웃음)로 생긴 경우이다. 반면 재발하며 지속적인 딸꾹질의 원인은 100여 가지가 넘으며 그 중 몇가지 중요한 것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 심리적인 원인: 심한 스트레스/과도한 흥분, 전환장애/애도반응, 신경성 식욕부진, 인격성 장애, 히스테리성 신경증

      - 기질적인 원인: 중추신경성, 종양, 다발성경화, 뇌수종, 척수공동증, 뇌경색, 뇌출혈, 동정맥기형, 경막혈종/경막하혈종, 두신경염, 뇌외상/뇌진탕, 말초신경성, 심낭염, 갑상선종, 목의 종양/낭종, 중격동림프질환, 고막의자극, 흉부외상, 폐종양/폐부종, 심근경색, 심낭염, 폐렴, 기관지염, 폐농양, 천식, 식도폐색, 식도염, 위염, 위궤양, 위암, 췌장염, 췌장암, 장폐색, 염증성 장질환, 담석, 담낭염, 신질환, 간질환

      딸꾹질을 멈추는 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 혀를 잡아당기면서 비인후부 자극, 티스푼으로 목젖 들어올리기, 비인후부에 대한 카테터 자극, 1티스푼의 설탕 먹기

      - 숨 참기, 재채기, 갑자기 놀래키기, 비닐봉지에 내신 숨을 재호흡하기

      - 경동맥 마사지, 미주신경 자극하기

      - 양 무릎을 가슴에 붙여서 횡격막 자극하기

      - 위의 팽창을 감소시키기 위해 트림을 하거나 비위관을 삽입한다.

      - 클로프로마진,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로자레팜, 디이아제팜 등의 약물들로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급성 딸꾹질은 저절로 호전되며 딸꾹질에 대한 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주 재발하며 지속적인 딸꾹질은 심각한 질환의 소견일 수 있으므로 담당 주치의와 상담 받아야 한다.

      심리적 요인 및 원인 불명의 중추신경계의 감염, 뇌종양, 요독증, 폐렴, 폐종양, 심낭염, 횡격막하 농양, 간염, 췌장염, 췌장암 등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피부과 약물에 의해서 딸꾹질이 유발된다면 해당 약물을 중단하는 것 외에는 딸꾹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방법은 없습니다. 유발 요인이 명확한 만큼 유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딸꾹질 증상을 예방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약을 복용하고 딸꾹질이 난다면 약을 먹는 방법에 문제가 있을수 있습니다.

      약을 삼킬때 너무 급하게 삼키지 않는지 확인해보시는것이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딸국질의 원인이 참 다양하기는 합니다만 약이 원인이 될까 싶네요. 어떤약을 드시는지 알수는 없지만 일단 중단해보시기는 것이 좋겠네요. 딸꾹질은 30분 이내에 좋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재채기, 구역질, 숨참기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해도 멈추지 않는다면 약을 드시는 것이 편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