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방수는 어떻게 구현될수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대기업의 스마트폰 기능중에 방수가 된다는 핸드폰이 나오는데요, 이 방수기능은 제가 보기에 어떻게 구현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상식적으로 물이 핸드폰안에 들어갈수 밖에 없는구조일텐데요 스피커로도 물이들어갈수도 있을거 같고요~ 아시는분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 방수는 내부로 물이 들어가도 회로에 닿지 않게 필례 차단하는 설계로 구현되며 본체 이음새 버튼 단자에 고무 가스켓 나노 코팅 접착제를 사용해 틈을 막습니다 스피커 마이크 같은 개방부는 물은 막고 공기 소리는 통과시키는 초미세 방수 메브레인을 써어 물 유입을 차단해 방수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 방수 기능은 기기 내외부를 꼼꼼하게 밀봉이 기본이죠. 이에 더불어 물의 침투를 막는 특수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되는거죠. 예를들어 방수 패브릭 또는 방수 테이프를 사용하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의 외부 틈새 주변에는 고무링이나 실리콘 패킹으로 정밀하게 들어가입니다. 물이 틈으로 들어오려고 하면 이 고무가 완전히 밀착돼 차단을 하는것입니다. 하지만 이런것도 시간이 지나면 바닷물 비눗물 고온 충격이 가해지면 방수 성능이 떨어지고 고무패킹도 노화되면서 방수력이 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핸드폰 방수는 한가지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설계가 들어갑니다. 먼저 단순하게 고무 패킹과 스크류를 통해서 틈을 방지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또 방수용 실리콘을 사용해서 틈을 막기도 합니다. 또한 스피커의 경우 다 막으면 소리가 나오지도 않으니깐 초미세 섬유망을 부착해서 물을 들어가지 못하고 소리는 나올수 있게 설계해서 방수가 구현 됩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스마트 폰이 물속에서도 고장이 나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 물이 안들어가게 막는것" 이상으로 정밀한 구조 설계와 특수 소재 때문입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링 : 버튼, 충전 단자, 카메라 등 틈새 부분에 고무나 실리콘 패킹을 넣어 물이 내부 회로로 스며드는걸 막습니다.
나노 코팅 : 내부 전자부품에 물 분자를 튕겨내는 초발수 코팅을 입혀, 혹시 물이 들어가도 회로가 단락되지 않게 합니다.
스피커, 마이크 보호막 : 얇은 방수용 멤브레인(특수한 얇은 막)을 씌워 소리는 통과 시키되 물방울은 막는 구조를 사용합니다.
IP 등급 관리 : 국제 규격에 따라 물과 먼지 침투에 대한 보호 수준을 검증합니다.
방수폰은 완전히 밀폐된 게 아니라 특수한 재료와 설계로 물이 들어와도 내부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만든 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