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3%상승인데 비해 코스피 안오르는 이유?
오늘 3월10일 나스닥 3%나 상승하고
그중 테슬라는 20%이상 폭등했는데요
이에 반해 코스피는 여전히 힘이 없고, 3000돌파도 힘들어 보입니다
이게 단순히 연기금의 영향인건지 아니면 다른 외부 요인이라도 있을까요?
미국시장과 한국시장의 디커플링(동조화 되지 않는)현상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현재 파악되는 한국시장의 문제점은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외국인 자본 유입의 한계 공매도 금지로 인한 자유로운 매매전략 구사 불가능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한국시장으로의 외국인 자본 유입이 안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한국시장의 밸류 자체가 현재 높게 평가되어있고 이 부분은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성장률에 가장 적은 타격을 받은 한국이기 때문에 3000선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제부터 시장을 주의깊게 살펴보셔야 하는게, 외국인 입장에서는 그로쓰(성장률)이 높은 곳에 돈을 투자하기 마련인데, 2020년에 한국시장의 경제성장률이 타 국가에 비해 많이 하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2021년 성장률에 기저효과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미국의 경우 2020년 경제성장률 하락으로 인해 유동성 정책을 펼쳐왔고 그에 따른 경제 성장률이 2021년에 한국보다 더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과 한국을 보았을때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니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에 더 큰 매력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네요
전체적인 추세는 미국장을 따라가지만 산업구조로 볼때 대중국의 수출비중이 대미국의 수출비중을 앞서는 지금현재시점에서는 홍콩장을 유심히 보시기바랍니다. 홍콩과 우리나라 둘다 중국장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큰추세로 미국장을 참조하시고 중국장과 특히 홍콩장세를 참조하시며 국내장세를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안녕하세요 주식 질문 답변가 부자아빠입니다.
애초에 우리나라 시장하고 미국시장을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미국/중국/일본 인정하기 싫어도 엄청나게 강대국입니다..
불안하고 어려운 상황에 더 높은 이자와 안전한 시장을 찾듯이 더 높이 성장할 수 있는 큰 시장으로 돈이 몰리는 일은 크게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수급의 불균형에 의한 주가의 등락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그렇다고 기업의 가치가 크게 변동되는건 아니니 주가가 내제가치에 비해 많이 하락하는 기업을 잘 찾는 기회를 살리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