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서방의 로마교회와 동방교회는 그림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했다는데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중세 르네상스 시대에서 서방의 로마교회와 동방교회는 교회 건축물에 그림을 그리는 것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는데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로마는 라틴어사용권, 동로마는 헬라어권이었다가 유스티니아누스1세 이후 동로마제국의 공식 언어는 헬라어로 정해집니다.

      언어가 다르면 종교문화도 달라지는데 성상사용의 의견 불일치는 두 세계분리의 명분으로 헬라인과 로마인은 고대로부터 성상 사용에 익숙해 제우스나 아테나의 조각품을 제작해 신전에 안치하던 헬라문화의 연장선이었습니다.

      황제들이 그리스도인이 된 후 이런 관습은 없어지지 않고 관공서, 법정, 군 막사 등에 황제의 성상이 설치되는건 흔한일로 이는 필연적으로 우상숭배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레오3세 황제로부터 시작된 성상파괴운동이 일어났고 시간이 흘러 성상파괴운동은 멈추지만 동방정교회에서 성화는 사용하되 존경의 대상이지 결코 예배의 대상이 될수없다는 것으로 정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