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가 인상되기도 하고 인하되기도 하나요?
FC로부터 10월부터 보험료 단가가 인상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보험료 단가는 인상되기도 하고
반대로 인하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인상은 쉽게 일어납니다. 갱신형보험이라고 해서 나이나 또는 보험대상자의 몸상태 또는 보험회사의 손해율 등을 통해서 보험회사의 실적을 올리기 위해 일정한 비율로 보험료를 올립니다. 다만 이것이 보험사의 실적이 올랐따고 하여 보험료가 하락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차별적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만, 보험회사에서 책정한 기준에 따라 운영이 되는 것이므로 이는 어쩔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가 인상이 되기는 쉬워도 인하 되기는 어렵습니다,
간혹 인하 되기도 합니다.
보장 담보에 따라서요.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FC로부터 10월부터 보험료 단가가 인상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보험료 단가는 인상되기도 하고 반대로 인하되기도 하나요?
: 질문이 기존 가입 상품에 대한 것인지, 새로운 상품에 대한 것인지는 알수 없으나,
기존 가입상품의 경우에는 갱신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으며,
기존 상품에 비해 정책에 따라 신규 상품이 보험료가 인상, 인하 될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갱신계약의 경우 보험료 인상이나 인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은 인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손보험중 보험료청구가 없을 경우 할인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매년보험료 인상이 있기에 할인이 적용되어도 크게 의미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는 개인적인 보험나이의 상령으로 직업등에 따라 인상이 될 수도 있으나 금리에 민강한편입니다 전체적으로 예정이율의 변동에 따라 인상이 될 수도 있으며 아주 가끔은 인하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물가상승율 등을 반영한다면 인상이 대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어떤 보험을 드셨는지는 모르겠지만 갱신형 보험의 경우 갱신주기마다 피보험자의 리스크를 재평가하여 보험료가 변동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위험률이 낮아지거나, 예정 금리가 올라간다던지 하면 보험료가 내려가는 등 조정이 됩니다.
보통 4월1일자로 리프라이싱(가격조정)이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매우 안타깝지만 보험료는 인상만 되고 인하는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아시겠지만 현재 경제가 인플레이션이 되고 있어 물가상승에 미국의 관세까지 겹치면서 무겁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해서 보험료가 인하가 될 확률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하십니다.
다만, 설계사가 10월에 보험료가 올라간다고 한 말은 잘 이해가 가지 않네요. 보험료 상승은 1년에 총 3번이 되는데 4월, 8월 그리고 소비자의 상령일에 상승이 됩니다. 만약 10월에 보험료가 올라간다고 말했다면 선생님의 생년월일이 4월달이면 10월에 상승을 하는게 맞습니다. 상령일은 소비자의 생년월에 6개월을 더한 월이니깐요.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인하되는 경우 있는데 금리가 오를 경우 입니다.
근데 대체적으로 보험료는 오르는편입니다.
그리고 10월에 오른다는건 그냥 뻥치는거예요.
확정 난 보험사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신형 상품은 나이가들어감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되며 4세대실손은 비급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험료가 할인되기도 합니다.
상품에 따라 건강할 경우 매년 할인되는 상품도 있습니다.(10년까지)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보험료는 손해율, 통계등을 바탕으로 인상 또는 인하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상되는것이 보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