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불같은듀공47
불같은듀공47

콘센트의 전기의 +극은 어느 쪽인가요?

콘센트 전기의 +극은 어느쪽인가요?

전기는 +와 -극이.있는것으로 아는데 보통은 아무렇게나 꽂는데 콘센트는 극성이 없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가정용 콘센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교류 전기를 사용합니다. 교류 전기는 직류 전기와 달리 +극과 -극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습니다. 교류는 전압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전압이 흐르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정용 교류 전원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기 기기는 플러그를 꼽는 방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안전을 위해 접지(ground)와 중성선(neutral), 그리고 핫(hot) 선의 위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보통 벽면 콘센트의 경우 두 개의 슬롯 중 더 작은 쪽이 핫 선이며, 더 큰 쪽이 중성선입니다. 접지는 콘센트의 아래쪽에 위치한 금속 핀 슬롯에 연결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는 콘센트(벽면 전원 소켓)에 극성이 없습니다. AC(교류) 전기는 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를 어떻게 꽂아도 전기가 정상적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는 AC 전류가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향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플러그를 꽂을 때는 방향을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특수한 기기나 접지 관련 장치가 있는 경우 극성이 존재할 수 있으니, 해당 기기의 설명서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우리나라 전기는 220v 교류라 극성이 계속변합니다 60hz 즉 1초에 60번 극성이 바뀌게 됩니다. 건전지같은 직류전기만 극성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네 맞습니다.

    콘센트는 한쪽이 P상이고

    나머지는 뉴트럴 즉 N상이기때문에

    +.-의 구분이 필요없는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센트에는 명확한 +극과 -극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콘센트에는 중성선과 전압선이라는 두 개의 전선이 있으며, 이 둘은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플러그에는 극성 구분이 없어 어느 쪽으로 꽂아도 전기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교류 전기로 직류전기에는 +,-단자가 있지만 교류는 그런 +,-단자가 없습니다. 그래서 콘센트를 보면 대부분 앞에서 봤을때 글자가 똑바로 쓰여져 있을때 왼쪽이 중성단지 오른쪽이 활성단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