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비둘기
비둘기

번개가 발생하게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폭우가 쏟아지는날 반개가함께 치는 장면은 살면서 한 번이상씩 접한 익숙한 광경이실겁니다.


질문드립니다.

번개가 발생하게 되는 원리는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지구 대기의 전기적인 현상 중 하나로,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표 간의 전기적인 충돌로 발생합니다. 대기 안에는 양성과 음성 전하가 존재하며, 높은 산과 바다, 도시의 건물과 차량 등의 물체에서 인위적으로도 전하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전하는 구름 안이나 구름 사이를 통과하면서 충돌하게 됩니다.


      이 충돌로 인해 구름 내부나 구름과 지표 간의 전기장이 형성되고, 전하가 누적됩니다. 전하의 양이 충분히 증가하면, 대기의 저항을 극복하여 전하가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번개가 발생합니다. 번개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매우 큰 전류가 흐르는 현상으로, 이 전류는 고열과 광원을 발생시켜 번개가 눈에 잘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구름 내부에 분리 축적된 음전하와 양전하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꽃방전을 말한다. 그러나 대기는 전도체가 아니 기 때문에 전하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당한 전위를 가져야 되는데, 양쪽 전하 중심 사이의 전위차가 수백만∼수억 볼트에 이르면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출처 : https://www.kma.go.kr/download_01/lightning/lightning_2005.pdf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기본적으로 대기 전하의 전기적 충돌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의 상층부에는 양성 전하가, 하층부에는 음성 전하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 두 전하가 충돌하면 전기적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러한 방출 현상을 번개라고 합니다.

      또한 번개는 구름과 지면 또는 구름과 구름 사이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름과 지면 또는 바다와 같은 지표면 사이에는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전하의 이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하의 이동이 일정한 정도까지 증가하게 되면 번개가 발생합니다.

      번개는 주로 천둥과 함께 발생하며, 대부분의 번개는 밝은 빛과 함께 쾌락하게 소리를 내며 발생합니다. 또한 번개는 보통 천둥과 함께 발생하므로, 비바람이나 폭풍우가 있는 날에 많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폭풍이 몰아치면 먹구름 속에서 물방울과 작은 얼음들이 부딪치며 마찰을 일으킵니다.

      이 마찰로 얼음이 물에게 전자를 빼앗긴 채 상승하는데요.

      이때 전하가 분리되어 있는 구름, 뇌운(번개구름)이 만들어집니다.

      그 결과 구름 위쪽은 양전하를, 구름 아래쪽은 음전하를 띠는데,

      번개는 뇌방전 동안 발생하는 매우 밝은 불빛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가 흐린날에는 적란운이라는 구름이 생성되는데, 상층부분에는 양전하가 존재하고 하층부에는 음전하가 존재합니다. 일정 수치의 전위차가 생기면 방전효과가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게되고 이가 지락으로 흐를시 번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