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후 오로가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출산을 하고 나면, 오로라는게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오로가 정확히 뭔가요?
오로는 출산 후에 바로 나오는건가요?
나오는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오로가 나올때는 어떻게 해줘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오로는 분만 후에 자궁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말합니다. 태반이 떨어진 자궁내막이 재생되면서 탈락막이 천천히 배출되는 과정에서 나타납니다. 젖을 먹여도 오로의 기간이나 성질에는 별 차이가 없습니다. 탈락막이 남아 있는 정도나 자궁의 상태가 다르므로 양도 개인차가 많습니다.
분만 직후에는 자궁 수축이 좋고 다른 문제가 없어도 태반이 떨어진 자궁내막에서 피가 어느 정도 나옵니다. 3~4일이 지나면 피는 나오지 않고 불그레한 대하가 나오는 것이 약 일주일 정도 갑니다. 그 후에는 색은 붉지 않아도 점액 성분의 탁한 대하가 나오며 냄새가 조금 나는데 보통 2~3주 가지만 일부는 4~5주 정도까지 갑니다. 대부분의 산모는 분만 후 4~6주가 되면 임신이 아닐 때와 비슷한 누르스름하고 뿌연 정상 분비물이 나옵니다.
오로가 나올 때는 딱히 해야하는 건 없지만 잘 나올 수 있게 물도 자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기간이 너무 오래 간다 싶으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로란 출산 후 자궁이나 질의 분비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자궁내막 조직 혈액 림프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4주가량 지속되며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회복의 촉진을 위해 아랫배를 따뜻하게 해주시고 패드는 분비물이 적어도 자주 교체하고 좌욕을 하는것이 도움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오로의 경우 분만 후에 나타나는 질 분비물입니다.
혈액 자궁내벽에서 탈락된 점막과 세포 등으로 분비물을 의미합니다
대략적으로 3~4일정도 나온다고 볼수 있으며
마사지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해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가를 출산할 때, 태아와 함께 배설되는 삼출액 또는 분비물을 의미합니다.
산모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일 이주 동안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몇 개월간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오로가 나오는 이유는
임신 3개월에 만들어지는 태반이 아기를 분만하기 전까지 엄마와 아기를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를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태반이 아기가 분만되고 나면 자궁 내막에서 탈락되어 바깥으로 배출되면 완전히 기능을 마치게 됩니다, 태반이 부착되어 있던 자궁의 내막은 상처가 나서 출혈이 있게 되는데 이때 출혈이 나오는 것이 오로 입니다.
출산 후 자궁 내막의 상처와 점점 자궁이 수출하면서 출혈과 분비물을 만들어 냅니다.
출산 후 오로의 양은 500~1000g 정도 이고 3~4일 부터 양이 줄어 듭니다. 3~4일 이후에는 생리처럼 분비 되다가 일주일 이후에는 생리량 보다 적게 분비 됩니다. 일주일 이후에도 계속 생리량 보다 많으면 병원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오로는 보통 출산 후에 3주에서 6주 사이엥
완전히 맞게 됩니다.
아이가 나오고 나서 태반이 자궁 내막에서 탈락되고
이에 내막이 상처가 나서 출혈이 있게 되고 이에 오로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