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유연한호랑나비176
유연한호랑나비176

여름 하늘도 파란데 왜 가을 하늘은 더 높고 파란가요

운동하고 집에가는데 차창 밖으로 파란 하늘이 보이네요. 여름 하늘도 이렇게 파랗고 이쁜데 가은 하늘은 왜 더 높고 더 파란지 이유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 하늘이 보다 높아 보이는 것은 실제로 하늘이 더 높아진 것은 아니구요. ㅎㅎ

      일종의 인식상의 착시입니다.

      이 착시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일일 자외선 노출 시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요

      가을은 일반적으로 지구의 북반구에서 온난한 여름이 점점 서리가 내리는 겨울로 접어들기 위한 시기입니다.

      이로 인해 태양이 저 고도로 오르지 않고 더 낮은 각도로 지표면에 비추게 됩니다.

      태양이 낮은 각도로 비추면 그림자가 길어지고, 빛의 경로가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고 더 푸르게 느껴진답니다. ㅎ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 되면 공기가 건조해 져서 수증기나 작은 물방울들이 상대 적으로 적어 진다. 따라서 산소, 질소 분자와 같은 매우 작은 알갱이들만 이 빛을 산란하므로 자외선 쪽에 더 가까운 빛 (파장이 더 짧은 빛)이 더 잘 산란되는 것이다. 그래서 가을 하늘이 여름 하늘보다 더 푸르게 보이 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여름 하늘도 가을 하늘처럼 파랗고 이쁩니다. 하지만 가을 하늘은 여름 하늘보다 더 높고 더 파랗게 보입니다. 그 이유는 가을에는 여름보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적기 때문입니다. 수증기는 태양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적은 가을에는 태양빛이 더 많이 대기 중으로 퍼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을 하늘이 더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가을철이 되면 양쯔강 기단2)의 영향을 받은 이동성 고기압3)의 영향권에 들게 됩니다.

      고기압은 하강 기류가 발생되어 대기 중의 먼지를 없애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열흘 이상의 맑은 날씨가 지속될 때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 또한 파란색을 더욱 산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가을의 하늘은 더욱 높고 파랗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색깔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분자들과 빛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대기 중의 분자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흡수되거나 산란됩니다.

      일반적으로 파란색 빛의 파장은 대기 중의 분자들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이러한 산란에 의해 파란색 빛이 고르게 분산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

      가을에는 일부 지역에서 대기 중의 습기가 적어지면서 대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더 많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먼지나 오염물질들은 빛의 파장을 다르게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어, 파란색 빛보다 붉은색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공기중의 많은 물방울이 산란을 방해하고 가을철에는 습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더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