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단단한비버63
단단한비버63

3국간 무역을 하는 경우 관련 서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한국에서 중국에 제조 의뢰를 하고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다시 아프리카로

운송하여 수출한다고 가정한 경우 한국에서 중국,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운송된

제품에 대한 수출 관련 서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상기의 경우 다음과 같이 구분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우리나라에서 중국에 원자재 등을 송부하면서 제조 의뢰를 하고, 중국에서 생산된 완제품이 우리나라를 거치지 않고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바로 수출되는 거래형태

      • 이러한 경우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원자재에 대해서는 계약서, 인보이스, B/L, Packing List, 수출신고필증, 외국환입금증 등이 수출 관련서류로 준비됩니다.

      •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완제품이 수출될 때는 우리나라에서 수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출 관련서류로 계약서, 인보이스, 외국환입금증 등의 서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우리나라에서 (원자재 등 송부 없이) 중국에 제조 의뢰만 하고, 중국에서 생산된 완제품이 우리나라를 거치지 않고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바로 수출되는 거래형태

      •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완제품이 수출될 때는 우리나라에서 수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출 관련서류로 계약서, 인보이스, 외국환입금증 등의 서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문의사항으로 보았을때 한국에서 중국으로 물품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 의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관세법은 물품에 대해서만 통관의무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제조의뢰'를 한 사실만으로는 수출통관 등의 업무를 수행하지 않습니다.

      중국에서 아프리카로 물품이 수출될 때 중국 해관에 수출에 대한 신고를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류는 Commercial Invoice와 Packing List 등이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물품에 따라 필요서류가 달라지게 될텐데 중국 현지 통관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 후 통관진행하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수입국인 아프리카의 어느 국가에서도 해당 국내 법령등에 따라 추가적인 서류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바이어나 해당 국가의 관세통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 경우 가장 필요한 서류는 Switch B/L 입니다.

      Switch B/L이란 수출자를 한국의 매도인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이 없다면 원수출자가 수입자가에게 노출되게 되고 직거래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Switch B/L은 다만 행위로서 구분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B/L(선하증권)과 동일하며, 동일한 B/L을 사용하기에 선하증권 이면의 운송약관도 동일합니다.

      이를 발급하기 위하여는 아래의 절차에 따르시면 됩니다.

        
        1) 선적지(수출지)에서 Original B/L이 발행되었을 경우
            -. Switch B/L 발행하는 선사 또는 포워더에게 Full Set(3부) 반납하여야 합니다.
            -. Switch B/L 발행 요청서 작성(필요시 : 신용장 사본,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등)
        2) 선적지(수출지)에서 Surrender B/L이 발행되었을 경우
            -. Surrender B/L(사본 가능)을 근거로 Switch B/L 요청서류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 Switch B/L 발행 요청서 작성(필요시 :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등)
        3) 중계업자가 지정한 계약포워더는 선적지(수출지)의 포워더로부터 선하증권의 발행 정보 상기 1), 2)항

            을 근거로 중계업자를 수출자로 하여 새로운 선하증권(Switch B/L)을 발행하게 됩니다.
            -. 선적지(수출지)의 선사 또는 포워더는 Switch B/L 발행처의 본.지점 또는 파트너의 관계로 유지되어있어 선적 전 중계업자의

      요청에 의거 상호 교신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 그리고 일부 외국계선사 또는 포워더에서는 위험성으로 발행하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