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공지능 산업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에 관련된 사업이나
프로그램들을 굉장히 많이 개발을 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인공지능 사업에 투자를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국가 AI 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약 2조 원을 투자했으며, AI 데이터 센터 구축과 인재 양성을 중심으로 첨단 산업 육성을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기술 선도국인 미국과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간 투자가 부족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규제 완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시장의
규모는 대략 2조 6천억원 정도로 우리나라 기업과
정부에서도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그 흐름에 발맞추어 다양한 분야에서 AI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인공지능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AI 기술 개발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AI 분야에 약 2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 전략의 핵심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AI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대학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수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말 영국의 데이터분석 미디어인 Tortoise Intelligence가 발표한 ‘글로벌 AI 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I 산업 수준은 조사 62개국 중 종합순위 6위인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특허(개발)’, ‘정책(정부전략)’ 부문은 우수한 것으로, ‘운영환경’, ‘인재’, ‘연구수준’ 부문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민간투자’ 부문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 AI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삼성, LG, 카카오, 네이버 등은 AI 연구소를 설립하고, 다양한 AI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AI 관련 학과와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AI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인공지능 산업 수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선진국이나 옆나라 중국보다도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구체적인 수치까지는 쓰기 어렵지만 국내 인공지능 산업은 정부와 민간의 활발한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고있습니다. 제조업, 헬스케어, 금융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기술이 적용되고있고, 특히 네이버에서 연구개발이 빠른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