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100만 원을 번다고 한다면?
한 달에 100만 원 정도 번다고 가정했을 때 자산관리를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그래도 생활비로 많이 쓸 곳이 있어서 적금을 많이 들 수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달에 100만원을 번다고 하면 자산관리를 한다기 보다는 현재 나의 소득을 어떻게 늘릴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100만원으로 나에게 투자해야 합니다
이 100만원으로 나에게 투자를 하여 월 소득을 올리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나이가 어릴 수록 나에게 투자되는 자금이 가치가 올라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100만원 중 생활비 빼고 급할때 쓸 돈은 파킹통장에 넣어두시면 이자 3프로대는 주니 파킹통장 만드시구요 적금을 저축은행 이벤트할때 최소 1년 5프로이상 주는곳에 가입하세요 일단 그렇게 한 3년정도 시드를 만드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고정비가 사람마다 다를 것이라 그 부분을 먼저 제외하고 나머지를 저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고정비를 최대한 줄일 방법을 찾으면 좋을 것 같은데요. 월세가 나간다면 전세로 바꾼다거나, 식비는 배달대신 해먹는 것 위주로 바꾼다거나 하는 등 고정비를 최소화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고정비용을 명확하게 계산을 하시고
그리고 임의적인 소비 비용을 정해두시는 등
그 나머지 자금은 모두 저축 및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달에 100만 원을 벌 때 자산 관리를 위해 먼저 생활비와 필수 지출을 정리하고 남은 돈을 저축과 투자에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적금을 많이 들지 못하더라도 소액이라도 자동 저축을 설정해 꾸준히 모으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또한, 소액 투자 상품이나 절약형 투자 방식을 활용해 조금씩 자산을 늘려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절약하는 것도 중요한 관리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 달 고정지출을 계산해보시고, 해당부분 제외한 부분을 월배당ETF와 적금으로 나눠서 들어가시면 좋을듯 합니다.
사실 한달 100만원이면 수입이 너무 적어 자산을 불릴말한 투자를 하기 힘든게 사실인 것 같습니다. 개인상황에 따라 모두 다르겠지만 지금 22살이시면 미래 소득을 늘리기 위해 공부든 무엇이든 자신에 대한 투자를 열심히 해야 할 시기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달에 100만원을 번다면 자산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요즘 물가를 무시하고 한달에 100만원의 수입이 있다면
혼자 사시는 분이라면 최소 30퍼센트는 저금을 하셔야 하고
만약에 혼자신데 부모님 집에서 같이 거주하면 70퍼센트도 저금이 가능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달 수입이 100만 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고정비용의 지출이 중요합니다.
휴대폰 사용료, 보험료, 가스비, 전기비, 관리비 등 고정비용이 있을 겁니다.
고정비용을 제외한 나머지를 계산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저축을 못하더라도 고정비용을 제외한 나머지를 한 달로 나누어 하루 사용치를 계산해야 합니다.
정말 힘들겠지만 10만 원이라도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100만 원에서 고정비용을 제외하고, 저축 10만 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하루하루로 쪼개어 하루 소비 지출액을 계산하여 생활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고 내가 휴대폰비랑 교통비 등을 한다고 하면 사실상
월에 30만원 정도가 현실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요새 물가를 고려하면 30만원도 힘든 것은 알겠지만 충분히 가능한 선입니다.
개인적으론 어리시기에 꾸준히 벌면서 청년도약계좌로 넣고 청약을 일단 5만원이하로라도 들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