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19

조선시대 삼포왜란 어디에서 일어난 아닌가요

조선시대 본격적인 임진왜란 이전에 이미 삼포왜란이라는 소규모에 전쟁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3 삼포왜란은 어디에서 발생한 것인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오년에 일어났으므로 ‘경오왜변(庚午倭變)’이라고도 한다. 조선은 건국 후 국방 문제를 감안, 무질서하게 입국하는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1407년(태종 7) 부산포(富山浦 : 東萊)와 내이포(乃而浦, 일명 薺浦 : 熊川), 1426년(세종 8) 염포(鹽浦 : 蔚山) 등 삼포를 개항하고 왜관(倭館)을 설치, 교역 또는 접대의 장소로 삼았다. 조선에서는 이 삼포에 한하여 일본 무역선의 내왕을 허락하였다.

    그리고 무역과 어로가 끝나면 곧 돌아가게 하되, 항거왜인(恒居倭人)이라 하여 거류한 지 오래된 자 60명만을 잠시 잔류할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나 왜인들은 이를 지키지 않고 계속 삼포에 들어와 거류했으며, 그 수가 해마다 증가하여 커다란 정치적·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었다.

    삼포에는 거류 왜인을 총괄하는 그들의 책임자가 있어 일정한 조직 체계 아래에서 활동하였다. 대마도주(對馬島主)는 이들 조직체를 통해 공물로서 면포를 받아가는 일까지 있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세종 때부터 그들의 토지 경작에 대한 수세론(收稅論)이 논의되다가 1494년(성종 25)에 이르러 거류 왜인의 경전(耕田)에 대해 수세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회유책의 일환으로 면세 혜택을 베풀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용책을 악용, 왜인들의 법규위반 사태가 빈번히 일어났고 연산군 때를 거치면서 그 도가 절정에 달하였다. 이에 1506년 중종은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왜인에 대해 법규에 따라 엄한 통제를 가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포왜란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01년 삼포에서 일어난 일본거류민들의 폭동사건입니다.

    조선은 건국 후 국방문제를 감안, 무질서하게 입국하는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1407년 부산포와 내이포, 1426년 염포 등 삼포를 개항하고 왜관을 설치, 교역 또는 접대의 장소로 삼았습니다. 조선에서는 이 삼포에 한하여 일본 무역선의 내왕을 허락했습니다.

    그리고 무역과 어로가 끝나면 곧 돌아가게 하되 항거왜인이라 하여 거류한지 오래된 자 60명만을 잠시 잔류할 것을 허락하나 왜인들은 이를 지키지 않고 계속 삼포에 들어와 거류했으며 그 수가 해마다 증가하여 커다란 정티적,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었습니다.

    삼포에는 거류 왜인을 총괄하는 그들의 책임자가 있어 일정한 조직 체계 아래에서 활동했으며 대마도주는 이들 조직체를 통해 공물로서 면포를 받아가는 일이 있었고 조선 조정에서는 세종 때부터 그들의 토지 경작에 대한 수세론이 논의되다 1494년에 이르러 거류 왜인의 경전에 대해 수세하기로 합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회유책의 일환으로 면세 혜택을 베풀었으나 이러한 관용책을 악용, 왜인들의 법규위반 사태가 빈번히 일어났고 연산군 때를 거치면서 그 도가 절정해 달해 이에 1506년 중종은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왜인에 대해 법규에 따라 엄한 통제를 가합니다.

    이에 왜인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조선인들과 충돌이 잦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포왜란 ( 1510년 4월 4일 ~ 4월 19일) 또는 경오왜변 (庚午倭變)이라고 하는 것은 1510년 (중종 5년) 4월 4일 우리나라 부산 근처에 거주하고 있던 왜인들이 대마도주 종성친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왜변을 말합니다. 여기서 삼포란 제포 (내이포), 부산포, 염포 등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