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4.12

문득 궁금해 지는데 바닷물은 왜 염분이 많은가요?

바닷물은 일반 적으로 짜다고 알고 있는데요 문극 바닷물은 어떠한 아유에서 짜지는 건지 염분은 어떻게 바다에서 생성되서 바닷물을 짜게 만드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건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가설인데요.

    지구는 처음에 마그마로 온통 뒤덮혀 있었는데 마그마가 식으면서 화산폭팔이 일어났고 이때 나온 가스에 염산,황 등이 있었습니다. 비가내리면서 염산과 황이 빗물에 녹아 땅에 내려왔고, 염산과 황때문에 나트륨,칼슘,칼륨등을 곡였고 이 빗물이 지형이 낮은 땅으로 모이면서 바다가 만들어진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짠맛은 바로 자연의 순환 과정에서 비롯됩니다.

    먼저, 빗물이 땅을 적시며 암석과 토양을 풍화시켜 미네랄을 녹여냅니다. 이 녹아낸 미네랄들은 강물을 타고 바다로 운반됩니다. 바닷물은 끊임없이 증발하며, 이 과정에서 순수한 물만 증발하고 미네랄은 그대로 남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바닷물에는 점점 더 많은 미네랄, 특히 염화나트륨(소금)이 쌓이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바닷물의 짠맛은 빗물, 풍화, 강, 증발이라는 자연의 순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미네랄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해저바닥의 바위로부터 염분이 계속해서 녹아들어오기때문에 항상 염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태고부터 바닷물에 염분이 있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해저에 깔려있는 암석으로부터 염분이 용해되었기 때문이다. 침식작용과 동결작용으로 인해 대륙의 암석은 조각이 나서 바닷물에 염분을 더하게 된다. 그러나 강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들이 바닷물보다 더 많은 양의 탄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바닷물에는 염화물이 더 많이 들어 있다. 바닷물속의 염분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수억만 년을 두고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출처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바닷물은 왜 짠가?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광물중의 나트륨이온은 물에 아주 잘 녹기 때문에 빗물에 의해 육지에 있는 많은 나트륨 이온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 바닷물 속에 있는 염소이온과 만나 바닷물을 짜게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염분이 많은 이유는 지구의 지각화학적 구조와 지구의 역사적인 과정 때문입니다. 지구의 지각화학적 구조는 바닷물에 염분이 높은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각의 암석은 노출된 물과 상호작용하여 미네랄을 용출하고, 이 미네랄은 강과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염분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지구의 역사적인 과정 중 하나로는 바다의 염분이 증가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수백만 년 동안 바다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염분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바닷물의 염분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현재의 바닷물은 염분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산과 땅을 지나오면서 그 속에 있는 염문과 미네랄 및 기타 성분들을 혼합해서 바디로 흘러오게 됩니다. 바다물이 증발 하면서 염도가 높아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