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1.12

사람의 체온은어떻게 일정하게 유지할수있는건가요?

사람의 체온은 일정하게 게쏙 유지되고있는데 어떻게 유지할수있는건가요? 차가운물을 마시게되면온도가 내려갈거같은데 어떻게 다시 온도를 끌어올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먹고 마시는 음식이 분해하여 소화 흡수되고,

    이것이 다시 산화(산소와 결합하는 것으로 ) 하는 과정에서 열이 나오는 겁니다.

    물론 이 열로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지요.


    쉽게 말하면 우리가 기름을 태우면 열이나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몸속에 저장된 기름 즉 지방을

    태워(산화 혹은 분해라고도 표현) 열을 얻고 그열로 체온을 유지합니다.

    물론 지방외에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체의 항상성 때문입니다.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각자의 건강 상태를 정상치에 가깝도록 균형을 밎춰주는 시스템입니다. 질문처럼 차기운 것이 몸에 들어오면 정상체온을 유지하던 것에 불균형이 생겨날겁니다. 그러면 그것을 감지한 인체는 체온을 올림으로써 정상체온을 유지하도록 만듭니다. 반대로 뜨거운 것이 들어오거나 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땀을 흘려서 체온을 낮출 수 있도록 반응해서 정상체온을 유지하려 합니다.

    즉, 인체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다양한 과정을 거처서 안정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항상성을 조절하는 기관은 시상하부로 수분조절, 체온유지, 식욕조절, 혈압조절 등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고 호르몬을 조절해줍니다.



  • 생명체가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항상성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경우 체온을 36.5도로 맞추려고 하는데,

    더울때는 땀을 배출해서 온도를 낮추고, 추울 때는 근육을 수축시켜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2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체온이 생기는 이유는 에너지를 다루는 과정에서는 꼭 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생물대사작용으로 이뤄지는 포도당의 에너지 효율이 40%인데, 열역학적으로 본다면 최대 60%는 그날 열로 빠져나간다고 보면 됩니다.

    그열로 인하여 체온을 유지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