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물에 젖으면 왜 불이 붙지 않나요?
흔히 장작을 활용해서 불을 떼는 경우가 많은데요. 나무가 물에 젖은 상태에서는 불이 안 붙는다던데 어떤 작용으로 인해서 그런 걸까요?
나무가 물에 젖으면 불이 붙지 않는 이유는 물이 가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물이 불의 발생 조건인 열과 산소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이에요.
첫 번째 이유는 물이 열을 흡수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물은 높은 비열(열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나무가 불이 붙으려면 주변 온도가 발화점(일반적으로 약 300°C 이상)에 도달해야 하지만, 물이 젖어 있으면 나무에 가해진 열이 대부분 물을 증발시키는 데 소모됩니다. 따라서 나무 자체가 발화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불이 붙지 않는 거죠.
두 번째 이유는 물이 산소를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불은 산소, 열, 연료라는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존재해야 유지되는데, 나무가 젖어 있으면 물이 나무 표면에 막을 형성해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막습니다. 결과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습니다.
세 번째 이유는 나무 내부에 있는 수분 때문입니다. 나무가 젖으면 내부까지 물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 수분은 불이 붙는 과정에서 나무를 더 빨리 식히고 연소를 방해합니다. 그래서 충분히 마르지 않은 나무는 불이 약하게 붙거나 아예 타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장작을 사용할 때는 충분히 건조된 나무를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젖은 나무는 열효율이 낮고 연기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을 피우기에 적합하지 않아요. 물이 불의 세 가지 조건을 차단하기 때문에 젖은 나무가 불에 타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복잡한 작용보다는
물이 증발 되기 전까지는 나무의 재질이 타지 않는다고 보시면됩니다
물질이 타려면 온도가 올라가야 하죠 물이 묻어있고 안에 있는 물이 증말 이 어느정도 되어야하고
불에 닿는 부분이 온도가 상승하여 타게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