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나무가 물에 젖으면 왜 불이 붙지 않나요?

흔히 장작을 활용해서 불을 떼는 경우가 많은데요. 나무가 물에 젖은 상태에서는 불이 안 붙는다던데 어떤 작용으로 인해서 그런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봄봄
    천봄봄

    나무가 물에 젖으면 불이 붙지 않는 이유는 물이 가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물이 불의 발생 조건인 열과 산소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이에요.

    첫 번째 이유는 물이 열을 흡수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물은 높은 비열(열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나무가 불이 붙으려면 주변 온도가 발화점(일반적으로 약 300°C 이상)에 도달해야 하지만, 물이 젖어 있으면 나무에 가해진 열이 대부분 물을 증발시키는 데 소모됩니다. 따라서 나무 자체가 발화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불이 붙지 않는 거죠.

    두 번째 이유는 물이 산소를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불은 산소, 열, 연료라는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존재해야 유지되는데, 나무가 젖어 있으면 물이 나무 표면에 막을 형성해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막습니다. 결과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습니다.

    세 번째 이유는 나무 내부에 있는 수분 때문입니다. 나무가 젖으면 내부까지 물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 수분은 불이 붙는 과정에서 나무를 더 빨리 식히고 연소를 방해합니다. 그래서 충분히 마르지 않은 나무는 불이 약하게 붙거나 아예 타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장작을 사용할 때는 충분히 건조된 나무를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젖은 나무는 열효율이 낮고 연기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을 피우기에 적합하지 않아요. 물이 불의 세 가지 조건을 차단하기 때문에 젖은 나무가 불에 타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떤 복잡한 작용보다는

    물이 증발 되기 전까지는 나무의 재질이 타지 않는다고 보시면됩니다

    물질이 타려면 온도가 올라가야 하죠 물이 묻어있고 안에 있는 물이 증말 이 어느정도 되어야하고

    불에 닿는 부분이 온도가 상승하여 타게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