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을 손에 담아보면 투명한데요. 왜 바다는 파랗게 보일까요?
바닷물을 손에 담아보면 투명한데요. 그리고 물은 투명한 색이고,
우리가 바다를 색칠할때도 파란색으로 색칠을 하잖아요.
그런데 왜 우리눈에는 바다는 파랗게 보일까요?
바다 물은 빨간색과 같은 장파장의 빛을 빠르게 흡수하는데 반해, 파란색과 같은 단파장의 빛은 물에 의해
더 쉽게 흡수되지 않아요. 따라서 바다에서 드러나는 빛은 파란색이 우세하게 되는 것이죠.
바다 표면에서 들어오는 햇빛은 물의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흩어져서 산란이 되요.
이때 파란색 광자는 더 강하게 산란되기 때문에, 우리가 바다를 바라보면 파란색이 더 강조되어 보이는 것이죠.
이것은 우리의 색깔 인식과 관련이 있어요. 빛이 사물에 닿았을 때 발생하는 파장 길이는 모두 제각각인데요.
사람은 이 파장을 감지해 색깔로 인식하는데, 바다 전체는 짧은 파장을 내 파랗게 보이는 것이에요.
바닷물이 눈으로 볼 때 파랗게 보이는 것은 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바닷물의 색깔을 결정하는 건 빛입니다. 햇빛은 일곱 가지 무지개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색마다 각각의 고유 파장이 다릅니다. 붉은빛은 파장이 길어 물에 빠르게 흡수되어 버리고 파장이 짧은 푸른색은 가장 늦게 흡수되어 바닷물을 통과하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우리가 바라보는 바닷물의 분자 구조 자체가
푸른빛깔을 가장 많이 산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태양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빛이 바다에 닿게되면 파장이 가장 긴 붉은빛이 바닷물 수심 5m 이내 깊이에서 가장 빠르게 흡수됩니다. 그리고 가장 늦게 흡수되어 바닷속 깊은 곳까지 도달하는 푸른계열의 빛이 산란되며 바다가 우리눈에 푸른색으로 보이게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