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항생제의 내성균이 무엇일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35

아이가 아파서 병원에가면 항생제가 들어간 약을 처방해 주잖아요.

그런데 처방약은 꼭 끝까지 다먹으라고, 그렇지 않으면 내성이 생긴다고 해서요.

내성균이 무엇일까요?

같은약을 어떨때는 3일치를 처방해주시기도, 또 어떨때는 5일치를 처방해주시기도 하는데

처방일수가 다른데, 그럼 5일치 처방받은 날은 3일만 먹이면 내성균이 생기고, 3일치 처방받은 날은 3일치만 먹어도 내성균이 안생기는건가요?

짧은 생각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백찬양 약사입니다.

    내성균이라함은 쉽게 말해 특정 항생제에 죽지 않고 내성을 갖는 세균을 의미합니다.

    처음에는 A라는 항생제를 투여하여 세균이 죽었지만 내성균이 나타나면 항생제 A를 처리해도 세균이 죽지 않는 것이죠. 이에 따라 치료도 잘 되지 않구요.

    병원에서는 병의 중증도 및 균주를 고려하여 내성균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항생제의 종류와 일수를 정해줍니다.

    3일이든 5일이든 전부다 복용하면 내성균이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끝까지 복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3일과 5일처럼 일수가 차이나는 것은 항생제의 종류마다 복용 권장 일수가 다르기도 하며 중증도에 따라 일수를 조절해서 그렇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특정 항생제 성분에 대해 감수성이 나타나지 않는 세균을 해당 약물에 내성이 있는 균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생제가 혈액 중에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존재해야 합니다.
    따라서 짧게 복용 후 중단할 경우 내성균이 생길 확률이 증가하므로, 되도록 처방받은 기간동안은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쉽게 생각하면 세균이 적응을 하는 것이 내성균의 원리라 생각하면 됩니다. 항생제를 복용하다가 도중에 중단하여, 항생제로 세균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은 상황일 경우, 살아남은 세균은 해당 항생제의 항균 작용에 적응을 하고 그 작용에 저항성을 가지게 됩니다. 즉 해당 항생제를 사용해도 세균이 파괴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지요.

    그렇기에 내성균 발생이란 것이 항생제 복용 중 주의해야 할 요인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