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고혹적인밀잠자리37
고혹적인밀잠자리37

생명과학1 교과 내용과 선천성 무통각증을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요?

생명과학1 주제탐구 보고서를 써야하는데

진로가 간호학과라 선천성 무통각증에 대해 조사하려고 하는데요 생명과학1 내용 중 어느 단원과 연계할 수 있나요? 흥분의 전도와 전달? 신경계?

그리고 선천성 무통각증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선천성 무통각증(Congenital insensitivity to pain)에 대한 탐구는 생명과학1 교과의 여러 단원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경계"와 관련된 단원이 이 주제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습니다. 신경계 단원은 통증을 인지하고 처리하는 신경계의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신경 신호의 전달 방식,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 등을 다룹니다.
    신경계 단원과 선천성 무톡각증의 연계는 신경신호의 전달 이나 흥분의 전도와 전달 부분을 통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선천성 무통각증을 이해하려면, 신경계가 어떻게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계 단원에서는 뉴런 사이의 신경 전달 과정, 특히 통증과 관련된 뉴런의 활동을 다루는데, 이는 무통각증의 생물학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통증과 관련된 흥분 전도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것 또한 액션 포텐셜의 발생과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이러한 장애의 생리적 기초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선천성 무통각증 및 무한증(CIPA)은 무한증을 수반한 선천성 무통각증으로, 통점·냉점·온점 등의 감각(압력 제외)을 뇌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유전성 질환인데요,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며 아주 드문 질환으로 유전성 감각 및 자율신경병증 제 4형(hereditary sensory and autonomic neuropathy type IV, HSAN type IV)으로 분류됩니다. 유전질환이기 때문에 생명과학1 교과 내용 중 '유전' part와 연관지어서 보고서를 작성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선천성 무통각증은 생명과학1의 '신경계' 단원, 특히 '흥분의 전도와 전달' 부분과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주로 SCN9A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이 유전자는 나트륨 채널 단백질을 만드는 데 관여합니다. 이 채널은 신경 세포에서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변이로 인해 이 채널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되지 않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신경 세포의 흥분 전도와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 과정, 그리고 감각 신경의 기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생명과학1의 신경계 단원 내용을 실제 의학적 사례와 연결 지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주제가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선천성 무통각증과 관련하여 생명과학1에서는 "신경계" 단원과 연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천성 무통각증은 신경계의 발달과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이기 때문에 신경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신경계는 우리 몸의 통신망으로, 자극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며 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선천성 무통각증은 신경계의 손상이나 이상으로 인해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신경계의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선천성 무통각증의 원인은 주로 유전적 요인에 기인하며, 신경계의 발달과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는 신경계의 통로나 신호 전달체계에 이상을 일으켜 통증 신호가 적절히 전달되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