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장기방치했을때 어떻게 변화되는건지요?
음식물을 음식물 쓰레기통에담아둔채
방치되여 몇개월정도 지났을때
그속에있는 음식물은 어떻게 변화되는거지요?
부패가되여 물로변한건지? 아님미생물이 먹어서
다없어지는건지요? 유독가스로 변화되여 다날라가버리는지요?
주변에 그런곳이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장기간 방치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변화는 생물학적 분해 과정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의 대사 활동이 진행됩니다. 음식물 쓰레기 내의 유기물은 박테리아와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이 과정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과 같은 복합 유기 분자들이 더 작은 분자로 쪼개집니다. 이 분해 과정은 부패(biodegradation)라고 하며, 이를 통해 생성된 간단한 유기화합물은 미생물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해되어 에너지로 전환됩니다.
발효(Fermentation) 및 부패 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발효는 혐기성 미생물(anaerobic microoragnisms)이 산소가 부족한 조건에서 유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할 때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메탄(CH₄), 이산화탄소(CO₂), 그리고 때로는 황화수소(H₂S; 고농도에서 독성이 있는 가스)와 같은 가스들이 방출됩니다. 부패는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물질에서 발생하며, 암모니아(NH₃) 또는 다른 암모늄 화합물 같은 냄새 나는 가스가 방출됩니다.
화학적 변화로 인해 물리적 상태 변화가 수반됩니다. 미생물 활동으로 인한 고체 물질의 분해는 점차적으로 액체 형태로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는 부패 과정 중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액체상의 레치에이트(leachate ; 물이 쓰레기와 반응하여 생성한 침출수)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음식물을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부패됩니다.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액체화, 고체 잔여물, 그리고 가스 발생이 일어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음식물의 대부분이 액체화되고, 일부 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며, 고체 잔여물은 결국 마르게 됩니다. 완전히 분해되거나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유기물은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통해 물,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단순한 화합물로 변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