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해가지지않아45
해가지지않아45

인체의 면역 체계가 병원균에 반응하는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인체는 외부로부터의 세균이나 병균에 대한 면역체계가 있는데, 이 면역체계가 병원균에 반응하는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체의 면역 체계는 우리 몸을 외부 침입자로부터 보호는 시스템입니다.

    면역 체계는 크게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천 면역은 빠르고 비특이적인 반응입니다. 즉,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빠르게 반응하여 1차 방어선 역할을 합니다. 주로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와 점막 같은 물리적인 장벽으로 병원균의 침입을 막습니다.

    그리고 대식세포, 호중구 등의 식세포는 침입한 병원균을 잡아먹고 소화시키며 자연살해세포인 NK 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죽입니다.

    또한 보체 단백질은 병원균의 표면에 달라붙어 직접 죽이거나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후천 면역은 느리지만 특정 병원균을 기억하고 더욱 강력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헬퍼 T 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고 세포독성 T 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죽이게 됩니다. 또한 B 세포는 항체를 생산하여 병원균을 무력화시키고, 기억 세포를 형성하여 재감염에 대비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면역계는 크게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 있습니다. 체액성 면역에는 B세포가 관여하고 세포성 면역에는 T세포가 관여합니다. 감사합니다.

  • 인체의 면역 체계는 병원균이 침입하면 먼저 선천 면역으로 대응합니다. 피부, 점막 등 물리적 방어선을 뚫고 들어온 병원균을 탐식세포나 자연 살해 세포가 발견해 즉각 공격하며, 염증 반응을 일으켜 해당 부위로 면역 세포들이 모이도록 합니다. 이후 후천 면역 단계에서 T세포와 B세포가 활성화되며, T세포는 병원균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고, B세포는 항체를 생성해 병원균을 표적화해 제거합니다. 병원균이 제거된 후에는 일부 기억 세포가 남아 동일한 병원균이 다시 침입할 때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준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