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11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이 추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까요?

이번에 기사를 보니까 11월 세계식량가격 0.5% 상승하여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11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이 추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5% 상승하여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식량 가격 상승은 향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식량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직접적인 영향: 식량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식량 가격이 오르면 CPI 상승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간접적인 영향: 식량 가격 상승은 운송, 가공 등 관련 산업의 비용 증가를 초래하며, 이는 최종 소비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과 전망

    품목별 동향: 11월에는 유지류 가격이 7.5% 급등한 반면, 곡물과 육류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품목별 가격 변동은 전체 식량 가격 지수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기후변화 영향: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이 식량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최근의 세계식량가격 상승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품목별 가격 변동과 공급망 상황,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달 상승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만들어낼수는 있지만, 실제 물가 상승이 되려면 몇 달은 상승추세가 나타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식량의 가격은 모든 물가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 다만 식량 가격은 과거 코로나 시기와 우크라이나 전쟁 사태 때 이미 많이 올랐고

      각국의 물가에도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 따라서 생각보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에 인플레를 크게 유도하긴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도 그러하고 있구요.

    우리가 경제성장률이 있어서 못 느끼는 것이지

    매년 평균 2.5% 정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폭이 더 커지냐 마냐인데 개인적으로 조금 더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이제는 기후변화가 보다 극단적으로 뚜렷해지고 있고 기존 살림이 파괴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것을 다른 지역으로 다시금 가꾸는데에는 시간이 필요한데 그것보다 훨씬 빠르게 피해를 보고 있어

    인플레이션 상승추세가 조금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11월 세계식량가격상승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단기적인 영향을 넘어서는지 여부는 경제 요소 상호작용에 달려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