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바버22
바버22

눈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나요?

옛날에 과학 시간에 배웠던거 같은데 눈이 어떤 원리로 내리는지 기억이 안나서요.

원래는 비로 내리다가 눈으로 바뀌는게 맞는건가요?

어떤 원리로 내리는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병합되어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추운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작은 수증기가 얼수 있으며, 얼게되면서 작은 눈이 됩니다. 또, 작은 눈 주변으로 수증기가 달라 붙으며(병합되어) 점점 눈의 크기가 커집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무거워지게 되면 지면으로 떨어지며 눈이되는 것이죠. 즉, 이미 커져있는 물방울은 비로 보스보슬 내리지만 아직 떨어지지 않은 작은 눈덩이들이 뭉치며 커지는 순간부터 함박눈이 내리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표의 수증기가 상승기류를 만나 구름이 형성되고 상층의 매우 낮은 영하 40도 정도의 대류를 만나면 구름속의 미세 물방울(수증기)은 얼음이 됩니다.

      이 미세 물방울인 빙정은 주위의 빙정들과 서로 달라붙게 되고 커지면 떨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눈이 내려오다가 하층의 더운 공기를 만나면 일부 녹으면서 진눈깨비가 되기도 합니다.

    •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어느정도 덩치가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나 호수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높은고도로 올라가면 먼지같은것들에 달라붙어 얼어붙기시작합니다.


      이러한 먼지나 알갱이들을 응결핵이라고합니다.


      응결핵으로부터 물분자가 조금씩 결정형태로 달라붙은 뒤 무거워지면 떨어져내립니다.


      이때 떨어지는순간 상온이면 내리기직전이나 내리면서 녹아 비가되고, 영하라면 그대로 눈의형태로 내리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