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소중한진도개19
소중한진도개1922.03.31

코로나 확진자 처방약 복용 후 속쓰림

나이
2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코푸정,타이펜650,이부프로펜400,액소도스,파모티딘
기저질환
고지혈증

코푸정 x2

타이펜er 650mg x2

이부프로펜 400mg x1

액소도스 x1

파모티딘 x1

오늘 아침에 식후 거의 바로 복용했는데, 속이 너무 쓰리네요. 누우면 신물이 엄청 올라옵니다. 지금 저녁시간잌데도 딱히 호전이 없구요. 약 자체가 속쓰림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약들인가요? 일단 오늘 저녁까지는 약 복용하려 하는데, 약 끊으면 속쓰린게 바로 좋아질까요? 코로나 때문에 아픈데 약먹고 속까지 쓰리니까 너무 우울하네요.. 참고로 위산역류하는거는 거의 3년만에 다시 느껴보는 것 같아요. 예전에 역류성식도염 진단 받은 후로 음식물 섭취 후엔 무조건 1시간 후에 눕거든요. 그 후론 이렇게 신물 올라오고 이런 적 한 번도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증상이 경증이라면 약물을 중단하셔도 좋습니다. 타이펜 ER 과 이부프로펜은 효과가 겹치므로 발열이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면 이부프로펜을 중단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증상이 심하여 조절이 필요하다면 약물을 변경하시는 것도 방법이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부프로펜과 코푸정은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침이 많지 않다면 코푸정을 빼고 드시는 것이 좋으며 발열이 심하지 않다면 이부프로펜도

    빼고 드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타이펜 역시 해열제로 이부프로펜과 함께 드시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파모티딘을 빼먹지 말고 반드시 같이 복용해야 속쓰림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속이 쓰리다면 약물 구성을 변경해주기를 요구하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일단은 증상 안심하시면 2알씩 복용하시는걸 하나씩 줄여보시는걸 추천합니다. 타이펜 er은 이부400도 있어서 열이나 통증없으시면 끊으셔도 됩니다. 속쓰림이 너무 심하면 식사도중에 드시고 그래도 안되면 약국에서 제산제 사서 같이 복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처방 받은 약이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는 약인지 궁금하시군요.

    이부프로펜의 경우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지만, 약물 때문에 신물이 올라온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우선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약 복용을 중단해보시고 호전될 경우 이부프로펜을 빼고 복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지속될 경우 병원에 방문해서 약을 처방 받아서 복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4.02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약물복용에 의한 위점막 자극으로 인해 해당증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위장관보호제가 함께 있지만 증상호전후 약물을 중단해야 완전히 좋아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푸정 x2

    타이펜er 650mg x2

    이부프로펜 400mg x1

    액소도스 x1

    파모티딘 x1

    현재 약을 복용후에 속쓰림이 심한 경우 우선 식후즉시 복용하길 권고드리며 증상 지속시에는 위장약을 추가로 처방받거나 약을 변경하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기왕력이 있다면 해당 증상이 다시 재발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약들은 모두 말씀하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식전이 아닌 식후에 드셔야 하는 약들입니다. 식후에 드셔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 보다는 원래 가지고 있는 기저질환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이며 약 복용을 중단해도 바로 회복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해당 약들은 모두 위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속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에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심하다면 이러한 증상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약이 아니라 처방받은 약 모두에 해당합니다. 물론 약을 끊으면 속쓰린 증상이 서서히 회복되겠지만 코로나 관련하여 치료를 해야 한다면 역류성 식도염 관련된 약도 처방받아 드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속이쓰리신것은 위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같이 약물 복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일반적인 경우 코로나라고 해서 특별한 약이 있지는 않습니다

    대증 치료라고 해서 지금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를 합니다.

    기침이 흔한 증상으로 코푸 시럽등을 처방합니다.

    하지만, 고열이 나고 온몸이 아프며

    특히 호흡곤란까지 동반한다면

    반드시 재택치료 의료기관에 연락하셔서

    병원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니 본인의 상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이상한 점이 있다면 관할 보건소에 연락하시어

    진료 안내 받으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코푸정 x2

    타이펜er 650mg x2

    이부프로펜 400mg x1

    액소도스 x1

    파모티딘 x1

    위 약중 속을 쓰리게 하는 성분은 이부프로펜(소염진통제)입니다.

    파모티딘이 속쓰림을 방지하지만 증상이 심하시면 제산제를 추가복용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해당 약제중에는 진통소염제인 이부프로펜이 위장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미 진통 해열제를 복용하고 있으므로 특별히 적응증이 없다면 중단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해당 주치의의 의견이 중요하므로 가능하다면 상의 후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이부프로펜을 드시면 속쓰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후에 드셨는데도 속이 쓰렸다면 이부프로펜 대신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시면 조금 낫습니다. 위장약이 있으면 같이 챙겨드셔도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우선 현재 겪고 있는 불편감이 복용하고 있는 약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인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약복용을 중단후에 증상이 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 증상이 사라진 후 다시 약을 복용시에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으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높기에 약물 부작용을 이야기 하고 약물을 변경하거나 위장약을 추가로 처방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파모티딘이라는 위장약을 같이 드시고 있어서 속쓰림을 어느정도 해결할수 있을것으로 보이나

    지속적으로 쏙쓰림증상이 있다면 이부프로펜은 빼고 드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위장약이 들어가 있는 상황입니다.

    짜먹는 제산제라도 추가적으로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부프로펜 때문에 위장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약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개인의 면역력과 기저질환 등에 따라 감염 이후의 예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감기 몸살 증상과 함께 두통, 근육통, 알러지반응, 무기력증과 함께 흉통, 미각/후각상실, 월경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제의 경우 개인의 증상에 따라 다르게 치료받게 됩니다.

    약물 복용 후 위장장애가 있다면 식후 즉시 복용해보시고, 위장약을 추가하여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우선 문의주신 약의 경우 식사 후에 드시는 것이 맞으며, 이부프로펜과 같은 소염진통제는 속쓰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속쓰림이 발생하면 우선 이부프로펜 정도 빼고 한번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이부프로펜 약물이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고 때문에 저 계열의 약을 복용할 때에는 보통 위장보호제를 함께 복용하고, 식후에 복용하도록 합니다. 현재 드시는 파모티딘이 위장보호제 역할을 하는 약물입니다. 그럼에도 위장관계 불편감이 심하시다면 약제를 변경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하며 비대면진료 혹은 재택치료팀에 연락하셔서 상담하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현재 복용중인 약 중에서 파모티딘은 속쓰림을 예방해주는 약입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효과가 적거나 위산이 역류하면서 증상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비대면 진료를 통해서 위장보호제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파모티딘이 들어가있기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해당약을 복용하시고 나서 속쓰림증상은 많이 완화될 것이라 생각되나, 만약 해당약을 복용후에 속쓰림이 심하실 경우 재처방을 받아서 약을 바꾸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이부프로펜400mg가 위장장애를 유발하기 쉬운 약입니다. 인후통, 몸살 등에 쓰는 소염진통제이구요. 제산제나 위보호제가 있다면 같이 드실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약물들 중에 이부프로펜은 위장관계 자극증상, 즉 속쓰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아이펜과 효과가 중복되므로 꼭 복용할 필요는 없으며 해당 약물은 빼고 복용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코푸정, 이부프로펜을 먹고나서 속이 쓰릴 수 있습니다. 코푸는 기침, 가래약이고 이부프로펜은 인후통, 몸살, 두통약입니다. 위장약이 있으면 같이 드셔도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드시는 약 중에서도 소염 진통제인 이부프로펜은 속쓰림이나 역류 증상을 유발할 수는 있습니다. 이런 증상에 대비하여 파모티딘이라는 위장약도 주신 것 같구요. 참 난감합니다만, 코로나 증상이 심하다면 약을 드셔야 할 것 같고, 역류 증상이 더 심하다면 약을 중단하시거나 추가로 위장약을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하는 약 중에 속 쓰린 약이 있기는 하나, 속 쓰린 것을 억제하는 약도 같이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비대면 진료 받은 곳에서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기존에 위산역류가 있으셨다는 말은 다른 사람보다 위산분비나 역류에 취약하시다는 말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괜찮으셨지만 그런 상황에 노출되면 증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셨던 분인것 같습니다.

    이부프로펜이 NSAIDs 라는 소염제로 위점막 보호를 낮출 수 있어 속이 쓰릴 수 있습니다. 파모티딘이 이런 문제를 막아줄 수 있어 같이 처방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이 약도 약이고 아마도 컨디션이 안좋으셔서 스트레스를 받으시면서 위산분비가 증가한게 복합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타이펜이 아세트아미노펜이니깐 이부프로펜을 빼고 먹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래도 해결이 안되시면 약국에서 제산제를 추가로 구매해서 복용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는 약품이 있긴 합니다.

    그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역류성식도염을 앓은적이 있다면 약간 예민하실수도 있긴 하겠네요.

    위장약이 들어있긴 하지만 약국 방문이나 병원방문가능하다면 혹은 대리인 통해서라도 가능하다면 위장약을 추가로 받으시거나 아니면 이부프로펜을 빼고 드시는게 나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위의 약중 알러지나 예민하게 반응하는 성분이 잇을 수 잇어보입니다. 증상이 잇다면 식사 후에 바로 복용하여주시고 약 드시고 따로 한시간 정도는 안눕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