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레버리지ETN에 대해 알고싶어요
1)원유선물ETN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2)거래 시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3)레버리지 투자 와 인버스투자의 차이점
4)그리고 원유선물 레버리지ETN의 향후 전망 알고 싶어요
1. 원유선물 ETN은 보통 최근 월물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우리나라에 신한, 삼성 원유 선물 상품은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유가가 2% 상승하면, 해당 상품은 4% 상승하는 거죠.
2. 주식과 똑같이 거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거래세는 없으나, 수익금에 대한 세금이 15.4% 나갑니다. 그리고, 롤오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롤오버 일정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괴리율 역시 체크하셔야 합니다. 괴리율이라는 것은 현재 유가 대비, ETN의 가격이 이론적으로 나올 텐데. 이 것 대비하여, ETN은 실제 거래가 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현재 유가와 달리 가격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래서, 괴리율이 많이 차이가 나게 되면, LP물량이라서 해서 증권사에서 인위적으로 가격을 조정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부분도 체크를 해주셔야 손해를 안 보실 수 있습니다.3. 레버리지는 유가가 오를 것에 베팅, 인버스는 유가가 하락할 것에 베팅 한 것입니다.
4. 제 생각이지만. 이렇게 낮은 유가에서는 산유국들이 오랫동안 버티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이 지금보다는 상승할 수 밖에 없다고 보입니다. 그러면, ETN도 향후 현재보다 가격이 높아지겠죠.
- 유가 연계 레버리지 상장지수증권(ETN)들이 최근 물량 부족으로 하루가 멀다하고 수십% 괴리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추가 상장을 하는 당일에도 고평가된 가격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내려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물량 공급이 이뤄지는 상장 당일에도 일평균 괴리율이 적게는 5%에서 크게는 19%까지 올라온 것으로 나타남.
- 각 증권사는 고평가된 가격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매수하려는 투자자가 몰리고 있어 물량을 투입해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
- '괴리율이 높다'는 것은 실시간 유가를 반영한 적정 가치보다 비싼 수준에서 ETN시세가 형성돼
있다는 의미
- 빠르게 소진되는 신규 공급 물량을 받아낸 것은 대부분 개인투자자.
배럴당 20달러 초반에서 횡보하는 국제 유가가 곧 반등할 것으로 바라본 개미들이
물량을 풀리는대로 매집했다.
-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개인투자자 매수세가 한 번도 본적 없을 정도로 강해 업계에서도 당황스러워
하고 있다" 고 말했다
- ETN과 상장지수펀드처럼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 상품은 일반주식과 달리 유동성공급자(LP)가
개입한다: 상품가격이 지수를 잘 따라갈 수 있도록 시장을 조성하는 기능을 함. 즉, 가격이
지수와 동떨어져 움직이지 않게 관리하는게 LP임무
- LP가 공급한 물량이 모두 팔림에 따라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비싸게 물량을 공급해 괴리율만큼 수익을 내는 것 아니냐는 투자자 항의도 커지고 있다
- 증권사는 난감하다는 표정.
매수세가 전례없이 강해 적정가에 물량을 공급해도 그 물량이 곧바로 소진돼 호가가 위로 치고 올라오기 때문에 가격 조정이 쉽지 않다는 것
- "ETN은 물량이 한정돼 있어 신규 상장할 때 장 초반에 물량을 한번에 다 던지지 않고 쪼개푸는 방식으로 공급, 이 과정에서 적정가보다 약간 높은 가격에서 호가를 내기도 하지만 이 또한 괴리율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지 고평가 상태를 의도적으로 조장하는 것은 아니다"
--------------------------------------------------------------------------------------------
<<정리>>
-원유 레버리지 ETN(상장지수증권)이 이번 유가폭락으로 인하여 반등을 노리는 개미투자자들에 의해
유례없는 물량 부족을 겪는 상황.
- ETN의 특성상 LP(유동성 공급자)가 가격과 지수가 차이나지 않게끔 조절해주는데도 매수세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이마저도 소용없는 모양: 적정가치와 시세간의 괴리율이 커짐
- 비싼 ETN시세로 인해 일부로 증권사가 비싸게 팔아 괴리율만큼의 수익을 내는것이 아니냐는 고객의 항의가 있기도..
- 증권사측은 매수세가 전례없이 강해 물량을 공급해도 곧바로 소진돼 호가가 올라가버려 조정이 어렵다함.
▷ 지금 주식 상황처럼 개인투자자들의 저가매수세가 여기에도 몰린듯.
▷ '위기를 기회로'라는 뜻이 정말 이런식의 투자가 맞는걸까? 물론 그와중에 대박맞는 사람도 있겠지만..
▷ 뉴스 댓글보니 증권사 욕 반, 매수자에 대한 얘기 반이네. 어쨌든 반등에 베팅을 건다는게.. 도박과 다른게 뭘까 싶다가도 한 방을 위한 대담함... 을 가진 사람들이 참 많구나 싶다. 나도 근데 그 한 방을 위해 거는 느낌이 뭔지는 알것같다. 지금 집 매수때문에 그럴판국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