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영민한바다사자109
영민한바다사자109

멸종위기 동물은 몇 급까지 있는 건가요?

초등학교 5학년 국어교과서에 멸종위기동물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아이가 멸종위기동물은 몇급까지 있는지 물어보는데, 저도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멸종위기 등급은 기관마다 나누는 기준이 조금씩 상이합니다. 먼저 국내의 경우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에서 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1급과 2급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1급은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며, 2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험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험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을 말합니다. 국제적으로 나누는 멸종위기 등급의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동, 식물 교역에 관한 국제협약인 CIGES에서 부속서 1종, 2종, 3종으로 멸종위기 생물을 분류합니다. 부속서 3종은 별 당사국이 보호조치 지정한 동식물이며, 부속서 2종은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동식물, 부속서 1종은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동식물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멸종위기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이 적색목록 Red list 에 여러등급으로 분류되어있습니다.

    그 등급과 몇가지의 예시를 찾아보았습니다.

    1. CR , critically endangered 위급 ; 가장 높은 위험

      북부 흰 코뿔소(Northern White Rhinoceros), 다윈여우(Darwin's fox), 양쯔강돌고래(baiji dorphin)

    2. EN, Endangered ; 위기 ; 가까운 근 미래에 멸종될 확률이 높음

      아시아코끼리 (Asian Elephant), 인도차이나호랑이 (indochinese tiger), 태양곰 (malayan Sun bear)

    3. VU, Vulnerable; 취약 ; 아직 멸종위험이 작지만, 미래에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

      바다거북 (Green sea turtle), 불곰 (Brown Bear), 마운틴/산악 고릴라 (Mountain Gorilla)

    해양, 육지 가리지 않고 인간의 욕심에 의한 환경터전의 오염에 따라 서식지의 감소, 그리고 밀렵으로 인하여 위의 예시처럼 다양한 종의 생명체들이 멸종에 이르고 있습니다.

  • 멸종위기 동물은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총 9개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멸종위기 정도에 따른 등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절멸(EX: Extinct) - 자연 상태에서 완전히 멸종된 종

    2) 야생 절멸(EW: Extinct in the Wild) - 자연 상태에서는 멸종되었지만 인공 서식지에서 존재하는 종

    3) 위기종(CR: Critically Endangered) - 절멸 위기에 처한 극심한 멸종 위험종

    4) 위급종(EN: Endangered) - 지속적 존재가 위협받는 심각한 멸종 위험종

    5) 취약종(VU: Vulnerable) - 위협 수준은 높지 않지만 계속 보호 받지 않으면 위험해질 수 있는 종

    6) 근염려종(NT: Near Threatened) - 현재 위험하지 않지만 가까운 미래에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는 종

    7) 최소관심종(LC: Least Concern) - 범위가 넓고 개체수가 풍부한 종

    8 ) 정보부족종(DD: Data Deficient) - 평가를 위한 정보가 부족한 종

    9) 미평가종(NE: Not Evaluated) - 아직 평가되지 않은 종

    따라서 총 9개 등급 중 취약종(VU)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해당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멸종위기만 놓고 보면, 위급, 위기, 취약 이렇게 3가지류 분류됩니다. 하지만 모든 종을 분류하는 기준은 총 9개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