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광을 없애주는 콘덴서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얼마전에 램프를 교체했는데
스위치를 껐음에도 불구하고
잔광이 남아 있더라고요.
찾아보니 콘덴서를 끼워주면 된다고 하더라고요.
잔광 제거 콘덴서를 끼우고 나니 깜쪽같이 잔광이 사라지더라고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전기를 잡아두는 기능을 합니다. 콘덴서안에 흐르고 있는 전류를 응축시키고 있다가 내뿜을 수도 있습니다.
전기를 차단했으나 미세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런 잔광콘덴서를 설치해 전기를 잡아 두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LED로 흐르게 되는 전류를 차단해주는 역할 을 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잔광제거콘덴서의 원리는 LED안정기로 들어가는 미세한 전류를 잔광제거콘덴서가 방전시켜 잔광을 없애게 됩니다.
미세하나마 전류가 소비하게는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잔광 제거 콘덴서의 원리는 전등 스위치를 껐을 때도 회로에 미세한 전류가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습니다. LED나 형광등 같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램프는 매우 적은 양의 전류로도 잔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한 전류는 스위치를 꺼도 회로에 남아 있어 전등에 잔광이 나타나는 원인이 됩니다. 잔광 제거용 콘덴서는 스위치가 꺼졌을 때도 회로에 남아 있는 소량의 전류를 흡수하여 전등으로 흐르지 못하게 막아줍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전류가 제거되고 잔광 현상이 사라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잔광은 LED 램프의 특성상 낮은 전류에도 약간의 빛을 발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스위치를 꺼도 전선에 남아 있는 미세 전류가 LED에 흐르면서 잔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콘덴서를 사용하면 남은 전류를 저장하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덴서를 회로에 추가하면 미세 전류가 콘덴서에 의해 소모되거나 차단되어 램프에 흐르지 않게 되면서 잔광이 제거됩니다. 이 과정 덕분에 스위치를 껐을 때 완전히 불이 꺼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램프의 잔광은 스위치를 꺼도 미세한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구가 아주 적은 전류로도 불이 들어오는 특성 때문입니다. 잔광 제거 콘덴서는 이러한 미세 전류를 저장하고 방전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합니다. 콘덴서는 회로 내의 불필요한 전기의 흐름에 저항을 제공하여 잔광 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콘덴서를 교체해서 잔광이 없어졌다는 것은, 주변 장치 중에 필터링이 작용했다는 것이고, 그 필터링 회로에 콘덴서를 갈아 끼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잔광 제거 콘덴서는 램프에 미세하게 남은 잔류 전류를 흡수해, 램프가 꺼진 후에도 남는 미약한 불빛을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스위치가 꺼져도 회로에 남은 작은 전류가 LED램프를 약하게 켜놓기 때문에 콘덴서가 이를 안정적으로 방전시켜 잔광을 없애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전하가 걸리면 전압을 저장하고 전랍이 떨어지면 전기를 방출해서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서 잔광효과를 없애줍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잔광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미세전류가 조명에 흐르기 되어서 잔잔한 빛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잔광콘덴서를 달으시기 되시면 효율을 좋게 하고, 미세 누설전류를 흡수해서 정상적인 조명의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주 목적은 역률 개선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