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트코인을 비롯하여 코인 가격들이 하락하는데
혹시 상폐 찌라시때문에 코인하락에 영향을 준건가요?
오늘보니 근거없는 소문이라고 거래소에서 해명했는데
이제 회복하겠죠? ㅎ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제가 판단 할 때에도 상폐 찌라시는 그 근거 자체가 너무 빈약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거의 신경을 써지 않았습니다.
다만 금융위에서 7월 이후 상장 유지 심사에 대한 언급을 하였고 이것이 마치 상장폐지 심사로 확대 해석 되었고 이것이 짜리시의 파워를 더 키웠습니다.
그렇지만 변함없는 것은 금융위에서 상장 유지에 논의가 시작 되었다는 것은 매우 우리가 유의해서 봐야 할 포인트 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이 공지 정도로 시장의 이런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이번 알트 하락은 규제 이슈도 있었지만, 전부는 아니라고 저는 판단하기에 알트가 다시 상승세로 올라설려면 이더리움 같은 메이져알트의 상승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의 해명이 생각보다 늦었다는 감이 없진 않지만, 사실 근거 없이 누군가가 자신의 의견을 적은 것이었다는 것이 팩트입니다.
향후 일부분 회복은 하겠으나, 7월에 있을 심사는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기에 앞으로 좀 더 두고보고 투자의 향방을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찌라시라고 발표가 되는 등 하였어도 아무래도 상장유지 심사가 이루어진다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등 하기에 앞으로 회복될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업비트 상폐 이야기 때문에 업비트에 상장 된 원화 마켓 코인들이 많이 하락을 했습니다.
다행이도 업비트에서 아니라고 발표를 해서 지금은 다시 약 상승 중이긴 한데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건 아니라고 생각이들고 조금 더 지켜봐야 될거 같습니다
최근 코인 시장의 하락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상장폐지(상폐) 소문도 그 중 하나일 수 있지만, 단일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우선,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 가격 변동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규제 및 정책 변화: 각국 정부의 규제 정책은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하거나 엄격한 규제를 도입하면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경제적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 상황도 암호화폐 가격에 영향을 줍니다.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등은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쳐 가격 변동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기술적 요인: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보안 문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해킹 사건이나 기술적 결함이 발생하면 투자자들의 신뢰가 떨어져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소문과 심리: 상폐 소문처럼 시장에 퍼지는 루머도 단기적으로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문은 투자자들의 공포심을 자극해 매도세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상폐 소문이 근거 없다고 해명했으니, 이 소문에 의한 공포심은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회복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코인 시장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의 회복 여부는 단기적인 소문보다도 더 넓은 범위의 경제적, 기술적, 규제적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입니다. 따라서, 시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정보에 기반한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업비트 상장폐지 찌라시는 당연히 근거없는 헛소문 일거라 생각했습니다 다음달 19일에 가상자산투자자보호법이 생기면 그래도 일부 김치코인들은 상장폐지가 될 확률은 높을거 같습니다
질문해주신 업비트의 근거 없는 소문 해명이 현재 상황에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미 시장이 푹 죽어 있기 때문에
업비트 측에서의 해명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 지켜봐야 알 것입니다.
맞습니다. 정부 당국의 국내 거래소 상장 600여개 코인에 대한 상장실질 심사를 통해서 소위 김치코인 상장 폐지 가능성과 해당 코인들 리스크 찌라시가 주초부터 돌면서 아하코인 등이 급락한 바가 있는데 루머이고 허위사실입니다.
사실 당국이 코인 시장의 상장 실질 심사나 상장 유지 조건 등에 대한 평가 잣대도 없고 당연히 경험도 없습니다. 현재 주력 거래소의 상장과 상장 유지 심사 노하우와 경험에 비할 바가 아니어서 향후 제도권 편입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알트코인들이 일제히 하락한 경위에는 말씀하신 것 처럼 소문에 의해 상폐에 대한 두려움이 작용하였고, 미국의 증시 시장이 좋은 상태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으로 많이 몰린 이유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