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눈은 얼음과 밀도가 똑같나요? 다르다면 왜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눈과 얼음 모두 물이 얼어서 형성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러면 눈과 얼음의 밀도는 완전히 똑같은 건가요? 만약 다르다면, 왜 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상훈 전문가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안녕하세요.

    눈과 얼음은 모두 물이 얼어서 형성된 것이 맞지만, 그들의 밀도는 서로 다릅니다. 얼음은 물이 완전히 결정화되어 고체 상태로 변할 때 형성됩니다. 얼음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정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밀집된 구조 때문에 일반적인 얼음의 밀도는 약 0.92 g/cm³입니다. 이 밀도는 물의 밀도(약 1.0 g/cm³)보다 약간 낮기 때문에 물에 뜹니다.
    반면에 눈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얼어 붙어 형성되는ㄷ,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눈송이는 중심에서부터 여러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얼음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눈송이의 구조는 매우 다공성이며 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눈의 밀도는 얼음보다 훨씬 낮으며, 이는 보통 0.1 g/cm³에서 0.3 g/cm³ 사이입니다. 하지만, 눈이 쌓이고 압축되면 밀도가 높아져서 단단한 눈이나 얼음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눈과 얼음의 밀도 차이는 주로 그들이 포함하고 있는 공기의 양 때문입니다. 눈은 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가볍고 부피가 큰 반면, 얼음은 대부분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더 무겁고 밀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눈과 얼음의 다양한 물리적 성질과 행동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눈과 얼음은 모두 물이 얼어서 형성된 것이지만, 밀도는 다릅니다. 이는 두 물질의 구조와 형성 과정에서 비롯됩니다.

    얼음은 물이 동결되며 분자들이 조밀한 육각형 격자로 배열되지만, 공기가 거의 포함되지 않아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얼음의 밀도는 약 0.9167 g/cm³로, 물보다 낮아 물에 뜹니다.

    눈은 대기 중 수증기가 직접 고체로 승화하여 육각형 결정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결정 사이에 갇혀 밀도가 낮아집니다. 눈의 밀도는 약 0.2~0.3 g/cm³로, 얼음보다 훨씬 낮습니다. 이는 눈 내부에 많은 공기 공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