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이윤극대화 이해가 안되어서 질문합니다

경제공부중인데 이윤극대화 이해가 안되네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으면 이윤극대화 라는데
추가적으로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이랑 추가적으로 판매할 때 수입이 같으면 결국 이윤은 0원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태성 경제전문가
    인태성 경제전문가
    대종빌딩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계 수입과 한계 비용이 같아지면 이윤의 극대화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계 수입과 한계 비용이 같아지면 한 단위 더 생산함으로써 드는 비용과 얻는 수입이 같아지는 상태라

    더 이상 생산하지 않더라도 이미 이윤에 최적화된 상태를 의미하기에

    이윤의 극대화라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윤 극대화(profit maximization)는 경제학에서 기업이 최대 이익을 반환할 수 있도록 가격과 생산 수준을 결정하는 단기적이거나 장기적인 과정으로 기업의 행동 기준으로 설명되며 기업은 이윤을 최대화하도록 행동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즉 이윤 = 수입-비용 =재화 가격×생산량-비용입니다.

    기업은 수입과 비용의 차액인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행동원리로 합니다. 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위해 생산량 1단위를 추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입(한계수익)과 그 때문에 소요되는 경비(한계비용)가 같아진다는 점에 입각해 생산량을 결정한다는 가설을 세운이론인데 이미 현실적 가설이 못된다는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계수입은 단위당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고 한계비용은 단위당 추가 발생 비용입니다.

    여기서 한계수입 > 한계비용일 경우는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 추가 생산을 하여야 하고

    반대로 한계수입 < 한계비용일 경우 생산량을 줄여야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계수입 = 한계비용은 기업이 이익을 더 내기 위해서 더 생산할 필요가 없는 균형 상태로 이때 기업 이익은 극대화 됩니다.

    예를 들어 편의점을 경영하는 점주라고 가정을 해 봅시다.

    알바 한 명을 고용하면 비용은 100 증가하고 수익은 200이 증가합니다.

    이럴 경우 점주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당연히 알바 한 명을 더 고용하는 게 이득입니다.

    여기서 알바를 3명 운영하게 되면 비용은 300 증가하고 수익도 300 증가한다고 하면 이게 균형이고 수익 최적화 단계입니다.

    다소 어려운 개념일 수 있는데 한계(marginal)이라는 개념 이해를 선행하시면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하실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생산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는 추가로 생산한 상품을 판매하여 얻는 수입과 그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상품을 한 단위 더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100원이고, 이를 판매하여 얻는 수입이 100원이라면, 추가로 얻는 이윤은 0원입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이 이미 이윤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생산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입니다.

    만약 기업이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라면 한계비용이 한계수입보다 작아야 합니다.

    즉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다고 해서 이윤이 0원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일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윤 극대화는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같을 때 이루어집니다. 이 지점에서는 추가 생산으로 인한 추가 이익이 없기 때문에 이윤이 최대가 됩니다. MR과 MC가 같을 때 전체 이윤이 0이 되는 것이 아니라,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같을 때, 이윤이 0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윤극대화 조건을 이해하려면 약간의 경제학 개념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어쨌든 간단히 설명 드리면,

    한계수입(MR) = 한계비용(MC)일 때는 추가적인 생산이 이윤을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에서 이윤은 최대화되며, 이윤이 0원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계이윤은 한계수입에서 한계비용을 뺀 값인데요.

    한계수입이 한계비용보다 클 때는 한계이윤이 양수라서 계속 이윤이 늘어나는 것이고, 반대로 한계비용이 더 클 때는 한계이윤이 음수라서 이윤은 줄어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