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Ella
Ella

주스를 쏟으면 몸이 왜 끈적끈적해지나요?

주스뿐만 아니라 바닷물에서 수영을 하고 와도 몸이 끈적끈적해지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끈적해지는 물질과 끈적해지지않는 물질의 예시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주스안에는 당분있습니다. 이러한 당분이 있는 액체가 묻은뒤 액체 혼자 증발하게되면,
    당분만 남아 끈적함이 남습니다.
    바닷물 안에도 염분 및 무기염료, 여러 유기물들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창진 박사입니다.

    주스에 들어있는 설탕 분자의 전하가 피부에 달라붙고 반대 전하로 인해 마치 접착제처럼 끈적한 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음료에 들어가는 것은 일반 설탕물보다 점도가 높은 액상과당이나 시럽형태이기 때문에 더욱 그런 현상이 도드라지게 됩니다.

    바닷물의 경우는 원리가 조금 다른데요

    바닷물에 들어있는 성분중 염화 마그네슘이 수분과 결합한 상태에선 끈적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접하는 달달한 음료는 대부분 끈적거림이 동반되며

    일반 물과 같이 마셨을때 입이 텁텁한 느낌이 나지 않는 음료 들은 끈적해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주스의 수분은 기화됨에따라 존재하고있는 당이나 이외의 점도있는 성분들의 농도가 짙어지게 됩니다!


    이로인해서 끈적끈적하게 느껴지는 것이며, 바닷물의 경우에도 같은 원리입니다!


    끈적해지는 액체는 주스처럼 당이 많이 함유된 액체가 해당되고, 끈적이지 않는 액체는 물처럼 함유된 당이 없는 경우에는 끈적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끈적거리는 이유는 용액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건조되어도 깨끗하게 날라갑니다.

    하지만 설탕물은 물이 날라가면서농도가 올라가고 물엿같은 상태가 되면서 끈적임이 발생합니다.

    바닷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소금물이기 때문에 물이 말라가면서 농도가 올라가고 그럼 끈적이게 됩니다.

    깨끗한 것 알코올, 물, 또는 액상에 녹지 않는것

    그럴일은 없지만 물+모래 등은 건도가 되어도 끈적거리지 않죠

    흙탕물은 쫌 다른 이야기라서 궁금하시면 댓글 주시면 추가로 작성하겠습니다. 흙은 음극을 가지고 있어서 찰흙 같은것이 물을 머금으면 끈적임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