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똑똑한 사람들이 대부분 의대로 진학하면 국가경제에는 마이너스일까요?

똑똑한 사람들이 대부분 의대로 진학하는 우리나라 상황이 안타깝다는 말을 들었어요.

의사나 변호사 등이 많은 부의 축적을 하니까 별 수 없는 것 같은데요.

국가 경제성장 측면에서 이런 부의 체계가 마이너스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우수인력이 전부 의대진학시 국가기반을 위한 이공계 인력수급이 어려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조건적인 마이너스라고 볼 수는 없으나 과도한 쏠림 현상이 발생했을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이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 인력들이 특정 전문직종으로 빠져 나가니 우려가 된다는 주장이 있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의사와 변호사 같은 전문직은 국가 경제에는 큰 도움을 주지 않습니다. 한국은 수출 경제이므로 수출이 가능한 테크 사업이 중요합니다.

      그만큰 테크 섹터가 좋아져야 국가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 경제 성장 측면에서는 여러 분야에 골고루 분포되어있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의대도 중요하긴 하나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적절히 배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의학기술이 발전할 순 있겠지만

      이공계열 등이 위축될 수 있고 뛰어난 인재 유입이 되지 않아

      국가적으로 손해일 여지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의대 진학 현상과 국가 경제성장의 관계

      최근 많은 뛰어난 학생들이 의과대학으로 진학하는 현상에 대해 사람들의 의견이 분분합니다. 한편으로 안정된 직업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는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문직의 매력 때문에 이해된다는 입장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 같은 현상이 국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의대 진학 열풍에 대한 현황

      • 의대 진학 선호: 경제적인 안정성과 높은 연봉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의대를 선호합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더욱 증가했습니다.

      • '의치한약수' 인기: 의대 뿐만 아니라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등 비슷한 면허증을 가질 수 있는 학과들도 인기입니다.

      • 의대 정원 문제: 정부에서 의대 입학 정원을 증가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의료계 내에서도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경제 성장과 의대 열풍의 상관관계

      • 인재의 분배 문제: 모든 수재들이 의대로만 진학한다면 다른 중요한 분야의 인재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국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이공계 기피 현상: 의대 진학 열풍은 과학기술 등 이공계 분야의 인재 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술 발전 및 경제 성장에 중요한 요소인 이공계 학문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국가 경제성장 측면에서 본다면, 의대 진학 열풍은 장기적으로는 여러 분야의 전문 인력의 균형 있는 배치와 발전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그야말로 한 분야에 치우친 인재 육성 구조가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한 인재 풀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국가의 건강한 경제 및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 분야에 인재가 균등하게 육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똑똑한 사람들이 의대로 진학하게 되는 경우 과학기술의 발전 부분에서는 뒤쳐질 수 있다 보니 국가 경제성장에서는 마이너스가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인재들의 의대쏠림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나라의 인재들이 한쪽 방면에만 쏠리게 되면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한국의 경제는 여러 분야로 인해서 지탱되고 발전하는 것인데

      그 여러 분야로 인재들이 진출하지 못하기에

      큰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직업들을 많이 선택하는 것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의사나 변호사 등의 전문직이 발전하고 발전된 사회에서는 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사회적으로 다양한 직업군이 발전하고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국가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들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