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올해 경제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안녀하세요? 요즘 계속 가계부채가 높다라는 뉴스가 나오던데요~ 역대 가장높은 비율이라고 하던데요~그런데 올해 경제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가계부채의 대부분은 부동산 대출이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한

      가계부채는 매년 역대급을 갱신할 예정입니다.

    • 가계가 실제 생활비가 없어서 대출이 늘어나는 것이면 문제가 있지만 그렇지 않고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렌트하는 비용으로 대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시장을 잡아야 하지만 현재 보유중인 부동산 시세를

      임의로 떨어뜨리기도 어렵기에 가계부채는 쉽게 잡히기 어려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많은 전문가들은 2023년보다는 2024년이

    경제적으로 더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나 어떻게 진행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정부가 전망한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은 2.2%입니다.

    유엔이 전망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4%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의 경제 전망은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저하고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점차적으로 하락하면서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의 인플레이션율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금리를 인하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에요. 현재로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2%대로 도달하게 되는 시점을 올해 4월에서 6월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보니 금리인하 시점은 6월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엔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에 대해 2.4%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에 대해선 2.4%로 예측했다. 4일(현지시간) 유엔이 공개한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7%에서 2.4%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한국은행 발표 지료 보면 올해 연간 성장률 2.2프로 정도 예상하더라구요 다른 전문기관들도 2프로 초반 성장률 전망이 많으니 고정도 인듯 싶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성장률은 지속해서 저성장세를 보이며 현재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하여 있는 스테그플레이션상태이며 금리도 크게 인하할 것으로 보이지 않고 있으며 전쟁등으로 인한 국제정세 불안정성으로 2024년 한국 경기가 밝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