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적으로 은행도산이 이슈인데,, 예대마진으로도 충분한 이득을 챙길 은행이 도산/파산을 하고 있는 특별한 사유가 있나요?
최근 세계적으로 은행도산이 이슈인데,, 예대마진으로도 충분한 이득을 챙길 은행이 도산/파산을 하고 있는 특별한 사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수익이 은행 잔고에 계속 쌓인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예대마진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다시 대출로 내보내기 때문에 정작 은행에 남아 있는돈은 적습니다.
이상황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가치가 감소한다는 뉴스가 나왔고 해당 은행에 예금을 맡긴 투자자들이
일제히 예금을 회수하는 뱅크런이 발생하여 은행이 파산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건전성이 튼튼한 은행이라도 총 자산의 20% 이상이 예금을 한번에 인출하면 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 예대마진으로 이익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파산할 수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이유는 은행도 예금자 자금을 채권, 증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해 더 높은 수익을 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투자가 위험하거나 실패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은행은 상당한 손실을 입어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은행이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차용인에게 대출을 하여 대출 불이행과 불량 부채로 이어졌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은행은 이러한 대출을 탕감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자본을 잠식하고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의 수익성과 지불 능력은 금리 변화, 경기 침체, 금융 시장 혼란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이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단기 차입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유동성 충격에 특히 취약하고 예금에 의존할 수 있으며, 이는 파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은행 파산은 내부 및 외부 요인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은행이 신중한 위험 관리 관행, 강력한 자본 완충 장치 및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하여 예기치 않은 충격을 견디고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미국은행의 파산은 해당 은행의 수익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은 특이하게 대출마진 수익은 40%가 되지 않았고 미국의 경우는 고정금리가 대부분이라서 금리인상에 따른 은행 수익의 증대가 거의 이루어지기 힘든 구조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은행은 예치금의56%를 채권에 투자하였는데, 금리인상으로 인해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서 손실이 커져가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손실이 커지는 구조가 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대규모의 예금인출 요청이 들어오면서 지급금 부족으로 파산하게 된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아무리 금리 인상으로 예대마진을 크게 늘려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하나, 결국 예금자들이 한 번에 예금을 인출하려고 몰려오면 사실상 은행은 아무리 큰 은행이라도 파산할 수밖에 없으며, 금번 SVB 사태가 바로 그렇게 촉발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파산, 즉 뱅크런 사태는 은행의 수익과는 별개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뱅크런은 예금자들이 대량으로 돈을 출금하는 현상입니더. 이는 예금자들이 은행에 대한 불신이 생기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금자들이 동시에 은행에서 돈을 출금하면 은행은 예금액보다 현금보유액이 부족해지게 되어 출금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우려한 예금자들이 너도나도 앞다투면서 출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은행 파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나 중앙은행이 대출이나 예금보호제도 등의 방법을 통해 예금자들의 불안을 진정시키고, 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금번 은행 위기 발생의 시작인 실리콘밸리은행 또한 주요 고객인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금난에 시달리면서 대량의 예금 인출이 발생하였고, 예금의 50%이 미국 국채 10년물에 투자가 되어있어 큰 손실 중임에듀, 자금확보를 위해 팔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면서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은행들과 같은 경우에는 이를 다시 대출하는
경우도 있지만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등 하여 유동성이
부족하여 도산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