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비둘기
비둘기23.02.17

예대금리차는 어떤것을 의미하는단어인가요?

예대금리차라는 단어를 뉴스에서 본적이 종종 있습니다. 이예대금리차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크다는뉴스도들었는데요


에대금리차는 정확히 어떤것을 의미하는 단어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예금 금리과 대출 금리의 차이를 예대금리차라고 합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는 대가로 고객들에게 이자를 이급하고, 예치된 예금을 대출하여 이자 수입을 얻습니다. 보통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으며, 이 차이 만큼이 은행이 창출하는 이익이며, 예대금리차가 크면 클수록 은행이 얻는 이익 또한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예금과 대출금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 은행의 주 수입원이기도 한 금리 차이는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고 받는 수익은 3%대인 반면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5%이상의 이자를 지불해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예대금리가 클수록 은행의 이익은 늘어나고 일반 국민들의 이익은 감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대금리차란, 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를 줄인 말입니다.


    은행은 기본적으로 고객들에게 예금 서비스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그 확보한 자금을 통해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에게 여신(대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데, 이 둘 사이의 갭으로 인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예대금리차이라고 하는 것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말하는 것인데, 동일한 만기 기준의 예금금리와 담보대출의 금리를 비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은행의 주 수익원이 바로 이 예대금리 차이를 통한 이자수익으로 발생하게 되며 보통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는 1.5%에서 1.8% 수준이 유지가 됩니다. 다만,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할 시에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에 비해서 더 빠르게 상승하게 되면서 예대금리 차이가 크게 벌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 금리 차는 은행이나 금융 기관이 예금에 제공하는 금리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이자율은 예금자가 저축으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예금을 유치합니다. 예금 금리 차이는 은행의 경쟁력과 예금 유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 금리의 변화가 대출 금리 및 기타 금융 시장 금리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제의 전반적인 금리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예금 금리 차이는 은행 간 위험, 유동성 및 기타 요인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