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23.01.10

비 온 후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 ??

가끔 비가 오고 난 후.

하늘에 아름다운 무지개가 뜨는걸 본적이 있는데.

왜 비온후 하늘에 무지개가 뜨는건가요??

그리고 무지개의 정의는 뭔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0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고 나면 공기중에 수증기가 증가하고, 이 수증기에 햇빛이 굴절, 분산되서 우리눈에 다양한 색깔로 보이는 현상이 무지개입니다. 햇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지나는 순간 다양한 색깔의 빛들이 각자 다른 속도로 물방울을 지나가면서 굴절되어 나누어 지는 것을 분광현상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분광현상 때문에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분광현상이 여러번 일어나면 쌍무지개가 생기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빛이 대기 중의 물방울을 통과할 때 빛의 굴절 또는 구부러짐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소나기가 내리는 동안이나 직후에 태양이 대기를 비추면 빛이 굴절되고 분산되어 다양한 색상을 만듭니다. 이 과정은 햇빛이 빗방울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그런 다음 빛은 빗방울에 들어가 빗방울의 곡면을 통과하면서 굴절되거나 구부러집니다.

    그런 다음 빛은 빗방울 내부에서 반사되고 빗방울을 나갈 때 다시 굴절됩니다. 빛이 구부러지면 스펙트럼의 다양한 색상이 퍼지고 색상 원을 형성합니다.

    무지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색상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및 보라색입니다. 무지개의 색은 항상 이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 후에는 대기중 많은 물방울들이 있습니다.

    이 물방울에 햇빛을 굴절하며 보이는 것이 무지개입니다.

    사전상 무지개는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나타나는 반원형의 일곱 빛깔의 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공기중의 물방울로 인해 태양빛이 반사되면서

    여러가지색깔의 띠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

    비가 내린 뒤에는 공기 중에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게 됩니다.

    즉,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생성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굴절과파장의 분리, 그리고 빛의 분산으로 인해 발생하게되는데요! 위와같은 이유로 인해파장이 길어져 굴절률이 낮은 붉은색과단파장의 굴절률이 높은 보라색이무지개의 끝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