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꾸기는 어쩌다가 탁란을 하게되었나요 ??
처음부터 그렇게하게된건가요 아니면 뻐꾸기도 살기위해서 어느정도 진화를거치고 생각을해서 그렇게하게된걸까요?? 어쩌다가 남의둥지에 알을낳는거죠?
안녕하세요.
뻐꾸기는 남의 둥지에 알을 낳는 '탁란'으로 새끼를 기르는 새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탁란을 한 어미 뻐꾸기는 새끼가 다 커서 둥지를 떠날 때까지 “뻐꾹~, 뻐꾹~” 울음소리로 새끼에게 뻐꾸기라는 걸 알려줍니다. 이를 ‘각인행동’이라고 합니다. 뻐꾸기를 비롯한 두견이과 새들은 몸통은 큰 데, 다리가 짧아 알을 품기가 어려운 신체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실패 확률이 높지만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번식방법을 선택해 진화했습니다. 또한 탁란할 다른 새의 알과 구별이 안 될 정도로 같은 모양의 알을 낳는데요, 부화한 뻐꾸기 새끼는 숙주 새의 새끼와 같은 소리를 냅니다. 물론 커서 둥지를 떠나면 숙주 새의 소리는 잊어버리고 뻐꾸기 소리로 웁니다. 하지만 탁란 성공률은 5~10%정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뻐꾸기의 90% 정도가 알을 맡기는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첫 번식 때는 잘 속지만 두 번째 번식 이후엔 뻐꾸기 알과 자기 알을 구별해서 골라내기도 합니다. 또 천적에게 둥지를 습격당해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자신의 둥지를 만들지 않음으로써 포식자의 공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으면, 뻐꾸기는 자신의 알을 보호할 필요가 없습니다. 뻐꾸기는 둥지를 만들고 알을 기르는 데 드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다른 새가 자신의 알을 부화하고 기르는 동안, 뻐꾸기는 더 많은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뻐꾸기는 자신의 알을 다른 새의 둥지에 낳음으로써, 자신의 새끼가 다른 새의 부모에게 기르도록 만듭니다. 이렇게 하면 자신의 에너지를 덜 소모하면서도 번식할 수 있어요.
뻐꾸기의 알은 기생하는 새의 알과 유사한 색깔과 패턴을 가지고 있어, 다른 새가 자신의 알로 착각하게 만들어요.
다른 새가 뻐꾸기의 알을 품게 되면, 뻐꾸기의 새끼는 다른 새의 부모에게 먹이를 받아 성장하게 돼요.
결론부터 말씀드려 진화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뻐꾸기가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행동인 '탁란'을 하는 이유는 주기적으로 알을 낳기 때문입니다.
암뻐꾸기는 적어도 4~6개의 알을 어느정도 기간을 두고 낳는데 뻐꾸기가 모든 알을 직접 품는다면 먼저 낳은 알 한두 개는 품어 주지 못하는 동안 썩게 됩니다. 아니면 알을 낳을 때마다 한두개씩 각각 부화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뻐꾸기는 아주 짧게 머무는 철새이기 때문에 계속 알을 품고 있을 시간이 없죠.
그렇기 때문에 뻐꾸기는 여려 차례 교미한 후 한두 개씩 주기적으로 알을 낳는 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다른 새가 돌보게 합니다. 이렇게 하면 뻐꾸기는 자신의 알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다음 세대를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뻐꾸기가 탁란을 하게 된 것은 생존과 번식 전략의 결과로, 처음부터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하면서 나타난 행동입니다. 탁란은 뻐꾸기에게 번식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게 해주고, 스스로 새끼를 키우는 위험을 피하게 합니다. 초기에는 알을 직접 돌보는 방식이었으나, 점차 남의 둥지에 알을 낳는 방식이 생존에 유리하다는 것을 자연 선택 과정에서 진화해 온 것입니다. 따라서 뻐꾸기의 탁란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발전한 생존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뻐꾸기는 처음부터 탁란을 하던 건 아닙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하면서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방식으로 발전했어요. 이렇게 하면 둥지를 만들고 알을 돌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자신의 알이 부화할 확률을 높일 수 있어서 생존에 유리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