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제법낙천적인블루베리
제법낙천적인블루베리

에틸렌 실험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보지 못했다면 해결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씨앗과 에틸렌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서 밀폐용기 두 개에 하나는 사과를 두고, 하나는 아무것도 두지 않은 상태로 솜에 물을 적셔서 씨앗을 발아시켰습니다. 그런데 씨앗 발아 속도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보지 못했다면 실패 원인이 뭐고, 어떻게 해결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씨앗과 에틸렌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에서 씨앗 발아 속도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지 못한 경우, 사과에서 방출되는 에틸렌의 농도가 씨앗 발아에 영향을 줄 만큼 충분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또는 밀폐용기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에틸렌이 용기 밖으로 빠져나갔을 수 있습니다. 대조군(아무것도 넣지 않은 용기)과 실험군(사과를 넣은 용기)의 조건이 일관되지 않았을 수 있으므로, 두 용기의 조건을 최대한 동일하게 유지하고, 유일한 차이점이 에틸렌 농도만 되도록 합니다. 물의 양, 온도, 습도 등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주의하시고 실험을 보완하기 위해서 에틸렌 방출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용기에 여러 개의 사과를 넣거나, 잘 익은 사과를 사용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씨앗 발아 속도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지 못한 원인은 에틸렌 농도가 충분하지 않거나 실험 조건이 적절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사과의 양을 늘리거나 사과가 에틸렌을 더 많이 방출하도록 일정 시간 동안 온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밀폐용기의 밀폐성을 높여 에틸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씨앗의 종류나 실험 기간을 조정하여 변수를 더 정확하게 통제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주변 온도가 발아에 최적화 되어 발아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면 에틸렌 유무에 따른 발아 속도 차이가 그리 크게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은 차이를 측정해야 한다면 발아가 느려질 수 있는 환경으로 실험을 설계하거나

    혹은 실험대상인 씨앗의 수를 많이 늘려야 할 수 있습니다.

    혹은 씨앗의 종류에 따라 에틸렌에 다르게 반응 할 수 있습니다.

    실험하려는 종자가 에틸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미리 조사하여 보는 것도 좋습니다.

    종자에 따라 발아과정에서 에틸렌을 스스로 만들기도 하므로 고려해야합니다.

    에틸렌은 매우 소량으로도 식물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밀폐용기에 씨앗을 담을 때 기체가 섞여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혹은 밀폐용기가 완벽하게 기체를 차단하는지도 고려해야합니다.

    실험군과 대조군이 에틸렌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이 같은지 고려해야합니다.

    밀폐용기의 부피, 솜에 적신 물의 양, 온도, 씨앗의 상태, 들어가는 빛의 양, 밀폐 용기에 들어간 사과가 에틸렌 외에 미치는 영향(ex수분,산소,이산화탄소) 등이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