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어떤 정책인지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시행하는 경제정책인지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답변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소득주도 성장정책은 문재인 전 대통령때 주요 경제정책 중 하나였죠
기본적으로 최저시급을 그전 보다 엄청나게 올려서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하고 생산이 증가하고 경제활성화된다 그러면 다시 소득이 증가해서 경기가 좋아진다가 모토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문재인 정부때 주요 경제 가이드라인으로 삼은 정책인데 이는 국민들의 소득을 높여
GDP를 성장시키고 내수 소비 시장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목적이였습니다
다만 부작용으로 인하여 인건비 상승은 물가상승을 불러왔고 소득이 커지긴 했지만 비용도
같이 상승하면서 실질 성장은 이루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득주도 성장이란 '혁신성장’, ‘공정경제’와 함께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된 3대 경제정책을 말합니다.
이는 가계의 부담을 줄이고 소득은 높여 늘어난 가계소득이 소비를 진작하여 경제성장을 이끌고
경제성장의 성과가 좋은 일자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경제구조를 만드는 경제정책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사람들의 소득을 높여 경제 성장을 이끌어내려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의 목표는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서 소비를 늘리고 그로 인해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고 경제 전체가 성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최저임금을 올리거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사람들의 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이 이 정책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렇게 해서 경제를 더 튼튼하게 만들려는 것이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목적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의 임금 및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도 함께 증가해 경제성장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으로서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들의 임금주도성장론에 영향을 받은것입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된 3대 경제정책으로 가계의 부담을 줄이고 소득은 높여 늘어난 가계소득이 소비를 진작하여 경제성장을 이끌고 경제성장의 성과가 좋은 일자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경제구조를 만드는 경제정책을 말합니다.
즉 한국의 경제 구조를 가계 중심, 근로소득자 중심으로 전환 시켜 내수 경제를 발전시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로 이루어졌으며 가계의 임금과 소득 늘리면 소비도 늘어나 경제성장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이었지만 이후 가계부채의 증가 부동산가격만 폭증하면서 상당히 비판을 받기도 하였으며 한편으로 자본주도성장아니냐는 이이갸기까지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주도성장정책은 가계 소득 증가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 시킨다는 아이디어로 저소득층의 임금을 인상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여 가계소득을 늘리면 소비가 증가하고 이는 다시 생산과 투자를 유발하여 경제가 성장한다는 이론입니다.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으로는 기업부담 증가, 물가상승, 단기적 경기침체 가능성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소득주도 성장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득주도 성장이란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여서
경제성장을 이끄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