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하늘이 붉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저녁때가 됐을때 가끔 하늘을 보면요, 그 하늘이 아예 컴컴하지 않고서 하늘이 살짝 붉은 기가 도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색은 왜 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이 되면 점점 붉어지는데요.
이것은 태양빛이 통과하는 대기층의 두께, 또 대기에 떠 있는 먼지의 양과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우리에게 도달하는 태양빛은 낮에는 약 500km의 대기층을 통과합니다.
그런데 저녁의 태양빛은 한 낮보다 몇 배는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태양빛 중에서 푸른색에 가까운 색의 빛은 대기의 분자나 먼지에 산란되고, 붉은색과 붉은색에 가까운 색은 잘 산란되지 않습니다.
붉은계열 색의 빛이 강조돼 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것입니다. 이것이 저녁노을이 만들어지는 원리입니다.
기본적으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이 짧은 파장의 빛 중 하나가 바로 푸른색이며, 따라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보내주신 사진이 색깔이 다른 이유도 쉽게 설명이 됩니다.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색깔이 많이 산란되면 해당 색이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