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실무에서 반도체 100% 관세 도입 시 대책은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컴퓨터 칩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우리나라는 이 경우 해외 공급망 구조나 OEM 전략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반도체에 100퍼센트 관세가 현실화되면 우리나라 수출기업에는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미국 시장 판매가 어려워지는 만큼 생산거점을 다변화하거나 현지 공장을 통한 직접 공급 모델이 검토될 수 있습니다. OEM 전략에서도 단순히 한국에서 제조해 수출하는 방식보다는 미국 내 위탁생산을 늘리거나 멕시코 같은 우회 생산 거점 활용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미국 기업과의 합작 투자나 기술 협력 형태로 진입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거론됩니다. 해외 공급망 관점에서는 유럽과 아시아 신흥국으로 수요처를 넓혀 의존도를 줄이는 시도가 병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미국내 기업에 대하여는 관세를 면제해주기를 바랄 수 밖에 없습니다. 삼전의 경우 미국내 라인 생산 전까지 이러한 관세를 면제받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러한 관세가 현실화될듯 한다면 그밖의 2차사들도 미국에 공장 설립을 검토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100%의 추가 관세가 실제로 부과된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상당한 타격을 입게될 것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전자 등은 미국내에서 공장을 증설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해당 관세율이 적용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또한 양국 정상들이 정상회담을 진행하기로 한 만큼 반도체에 대한 관세도 여러가지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